메뉴

중국 지난해 R&D 투입 총 3조 3,357억 1000만 위안(약 627조 9,474억 원)

 

중국이 지난 2023년 한해 전국에서 연구개발(R&D)에 투입한 경비만 3조 위안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동기 대비 8%가 훌쩍 넘는 수치다.

중국의 ‘기술 굴기’가 지속되는 이유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중국은 시진핑 주석 취임이래로 ‘세계의 공장’에서 ‘세계의 연구소’로 거듭나고 있다.

전기차와 배터리, 반도체와 AI 등의 분야에서 세계 최고인 미국에 버금가는 논문 발표율을 기록하고 있다.

7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국가통계국은 최근 이 같은 내용의 ‘2023년 전국 과학기술 경비 투입 통계 공보’를 발표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2023년 전국의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 투입액은 3조 3,357억 1000만 위안(약 627조 9,474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2,574.2억 위안(47조 9,510억 원) 늘어난 것으로 전년보다 8.4% 증가한 수치다.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 투입 강도(국내총생산 대비 비율)는 2.65%로, 전년보다 0.09%p 상승하였다. 연구 및 실험 개발(R&D) 인원의 전일제 근무량을 기준으로 산정한 1인당 경비는 46.1만 위안이었다.

2023년 국가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11,995.8억 위안(225조 8,209억 원)으로, 전년보다 867.4억위안(16조 3,288억 원)  증가하여 7.8% 성장하였다. 이 중 중앙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3,973.1억 위안으로 전국 재정 과학기술 지출의 33.1%를 차지하였고, 지방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8,022.7억 위안(약 151조 273억 원)으로 66.9%를 차지하였다.

2023년, 전국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 투입은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하였고, 투입 강도 또한 꾸준히 상승하였다. 기초 연구 투입에서는 새로운 진전을 이루었으며, 국가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도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유형별로 보면, 전국 기초 연구 경비는 2,259.1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1.6% 증가하였고, 응용 연구 경비는 3,661.5억 위안(약 68조 9,277억 원)으로 5.1% 증가하였다. 실험 개발 경비는 27,436.5억 위안(약 516조 4,921억 원)으로 8.5% 증가하였다. 기초 연구 경비의 비중은 6.77%로 전년 대비 0.2%포인트 증가하였고, 응용 연구와 실험 개발 경비의 비중은 각각 11.0%와 82.2%를 차지하였다.

기관별로 보면, 각종 기업의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는 25,922.2억 위안(약 487조 9,8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8.6% 증가하였으며, 정부 소속 연구기관 경비는 3,856.3억 위안으로 1.1% 증가하였다. 고등 교육기관 경비는 2,753.3억 위안(약 51조 8,308억 원)으로 14.1% 증가하였고, 기타 주체의 경비는 825.3억 위안(약 15조 5,362억 원)으로 21.8% 증가하였다. 기업, 정부 소속 연구기관, 고등 교육기관 경비 비중은 각각 77.7%, 11.6%, 8.3%를 차지하였다.

지역별로 보면,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 투입이 1,000억 위안(약 18조 원)을 초과한 성(직할시)은 12개이었다.

구체적으로 광둥(4,802.6억 위안/약 90조 4,089억 원), 장쑤(4,212.3억 위안/약 79조 2,965억 원), 베이징(2,947.1억 위안/약 55조 4,791억 원), 저장(2,640.2억 위안/약 49조 7,017억 원), 산둥(2,386.0억 위안/약 44조 9,164억 원), 상하이(2,049.6억 위안/약 38조 5,837억 원), 후베이(1,408.2억 위안/약 26조 5,093억 원), 쓰촨(1,357.8억 위안/약 25조 5,605억 원), 후난(1,283.9억 위안/약 24조 1,694억 원)을 기록했다.

또 안후이(1,264.7억 위안/약 23조 8,079억 원), 허난(1,211.7억 위안/약 22조 8,102억 원), 푸젠(1,171.7억 위안/약 22조 572억 원) 등을 기록했다.

연구 및 실험 개발(R&D) 경비 투입 강도(지역총생산 대비 비율)가 전국 평균을 초과한 성(직할시)은 베이징(6.73%), 상하이(4.34%), 톈진(3.58%), 광둥(3.54%), 장쑤(3.29%), 저장(3.20%), 안후이(2.69%) 순이다.

2023년, 국가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11,995.8억 위안(약 225조 8,209억 원)으로 전년 대비 867.4억 위안(약 16조 3,288억 원) 증가하여 7.8% 성장하였다. 이 중 중앙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3,973.1억 위안(약 74조 7,936억 원)으로 전국 재정 과학기술 지출의 33.1%를 차지하였으며, 지방 재정의 과학기술 지출은 8,022.7억 위안(약 151조 273억 원)으로 66.9%를 차지하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