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독거인구 증가세에 중 네티즌 "두렵다"

 

한국 정부가 오는 2052년 한국에 1인 가구가 40% 넘어설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자, 이웃 중국 네티즌들은 남의 일이 아니라를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적지 않은 중 네티즌들은 "두렵다"고 반응했다.

 

중국 매체들은 한국통계청의 최근 예측 보고서를 보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젊은이들의 결혼 지연과 인구 고령화 가속화 등의 영향으로 2052년이 되면 한국 가구 중 1인 가구 비율이 40%를 넘을 전망이다.

 

한국통계청은 한국의 전체 가구 수는 2041년에 약 2,437만 가구로 정점을 찍은 후 점차 감소하여 2052년에는 약 2,328만 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2052년에는 약 962만 가구가 1인 가구로, 2022년의 34.1%에서 41.3%로 증가할 전망이다.

 

중국 매체들은 한국의 연합뉴스 보도를 인용, 경제 불황, 높은 집값, 결혼관 변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의 젊은이들이 결혼이나 출산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1인 가구의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전했다.

 

또 사람들의 평균 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면서 1인 가구의 증가를 촉진하고 있다.

 

실제 2022년 기준으로 20대 젊은층이 1인 가구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해 18.7%였고, 그 뒤를 30대와 60대가 이었다. 그러나 2052년에는 80세 이상 노인이 1인 가구 중 23.8%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최다 그룹이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딩크족' 가구 비율은 2022년 17.3%에서 2052년 22.8%로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통계청이 2023년 12월 발표한 인구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인구는 2020년 약 5,184만 명으로 정점을 찍었으며, 그 이후로 매년 사망자가 출생자를 초과하고 있어, 이 추세에 따르면 50년 후 한국 총인구는 약 3,620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중 절반 가까이가 65세 이상의 노인일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세대주 연령도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이다. 세대주의 중위 연령은 2022년 53.2세에서 2052년 65.4세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65세 이상의 '고령 세대주'는 2022년 522만 5천 가구에서 2052년 1,178만 8천 가구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중 네티즌들은 "안 그래도 힘든 데 자꾸 걱정거리만 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고령화, 독거시대는 중국 역시 쓰나미처럼 사회를 덮치는 공포 현상이다.


사회

더보기
대규모 헬스장 부실 경영 막는 유일한 방법은? 중 상하이 사전 건전성 단속이 최고
대형 헬스장의 돌연한 폐업은 소비자들에게는 엄청난 피해다. 피해자도 다수여서 지역 사회 경제에 큰 영향을 끼친다. 중국의 헬스장은 한국보다 규모가 더 큰 경우가 적지 않다. 그런데 중국 소비자들의 소득은 아직 한국 수준에 미치지 못한다. 자연히 한국보다 그 피해가 클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런 중국에서 상하이 시가 묘책을 내놓고 1년간 운용 성과를 올려 주목된다. 1년 전, <상하이시 체육 발전 조례>(이하 <조례>)가 공식 시행됐다. 그 중 여러 조항은 헬스업계가 어떻게 올바르게 선불 소비 영업 활동을 진행해야 하는지를 규정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업 부서 외의 산업 주관 부서가 법규에서 선불 소비 영업 활동에 대한 감독 방안을 제시한 사례였다. 1년이 지난 후,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에 대한 감독 세칙이 발표되었으며, 이는 상하이 헬스업계의 선불 소비 금액과 사용 가능한 서비스 기한 및 횟수를 명확히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전국에서 처음으로 스포츠 산업의 선불 자금 ‘삼한’ 기준을 설정한 사례였다. 1월 13일, 상하이시 체육국은 여러 부서와 공동으로 <상하이시 체육 헬스업계 선불 소비 영업 활동 감독 실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