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제12회 중국(구이저우)국제와인박람회 총 거래액, 100억 위안

 

'116억2000만 위안'

한화로 약 2조 1216억 원 가량이다. 중국 한 와인박람회를 통해 이뤄진 거래 규모다. 한 번의 박람회가 만들어낸 경제 가치가 2조 원이 넘는다. 바로 중국 시장의 힘이다. 

한국의 적지 않은 매체들이 중국 시장의 힘을 과소 평가하고, 심지어 무시하기까지 한다. 과거 조선이 그랬다.

결국 경제에 무식하고, 게으르며 위선적인 선비들이 택한 게 바로 돈을 천시하는 일이었다. 백성들에게 돈을 천한 것이라고 하고, 그래서 천민들이 돈을 벌어 자신들을 부양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결국 조선을 나라를 잃고 말았다. 

시장의 힘을 인정하고, 그 힘을 이용할 줄 알아야 현명한 것이다. 당장 중국 와인박람회에도 적극 참여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13일 중국 현지 매체 중신망(中新網)에 따르면 제12회 중국(구이저우)국제와인박람회가 지난 9~12일 구이저우성 구이양에서 개최돼 온·오프라인 총 거래액 116억2000만 위안(약 2조 1216억 원)을 달성했다.

중국 상무부와 구이저우성 인민정부가 공동 주최한 이번 박람회는 '더 나은 삶을 창조하기 위한 글로벌 와인 수집'을 주제로 열렸으며 한국, 뉴질랜드, 아일랜드, 조지아, 몰도바 등 23개 국가 및 지역에서 약 1600개 업체가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특히 올해 와인 박람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전시, 라이브 방송 마케팅, 거래 협상을 통합한 전시 방식을 채택해 국제 부티크 파빌리온, 중국 유명 선술집, 국제 고급 선술집 등 9개의 오프라인 전시관이 운영됐다.

또 와인 산업 발전 서밋 포럼, 2023년 세계 와인 바이어 협상 컨퍼런스, 2023년 와인 신제품 출시 컨퍼런스, 와인 관광 및 와인 상인 통합 홍보 활동, '와인과 커피' 바텐더 공연, 시식 활동 등이 진행됐다.

와인시장은 한국도 작지 않다. 이미 글로벌 와인 수입망도 잘 가춰진 상태다. 중국에 들어가는 와인의 일부만 한국을 통해 들어가도 그로 인해 창출되는 부가가치가 적지 않아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