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쇼핑하러 중국으로 향하는 홍콩인들, 中네티즌 "홍콩이 가난해졌나?"

 

'쇼핑 천국' 홍콩의 명성이 흔들리고 있다. 과거 홍콩은 중국 대륙에서 찾아온 쇼핑 관광객들로 붐볐지만 지금은 인구 이동이 거꾸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홍콩은 모든 상품이 무관세다. 명품 등 일반 소비재들이 관세 없이 거래되다 보니 글로벌 사회에서 오랫동안 쇼핑 관광지로 군림했다.

하지만 중국 각종 플랫폼들이 발전해 무관세의 장점이 희석되는 것은 물론, 상품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지면서 홍콩 소비자들도 중국 플랫폼을 통해 구매하거나 인근 도시인 선전에서 직접 쇼핑하는 것이 증가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신기하다는 듯 이러한 현상을 바라보고 있다. "홍콩이 가난해졌나?"라는 의문마저 던지고 있다. 중국 제조업과 IT플랫폼 발전이 만든 새로운 현상이다. 

최근 홍콩 출입국 관리국 통계에 따르면 7월 1일부터 8월 29일까지 홍콩 주민 900만 명 이상의 홍콩 북부의 선전에 입국했다. 홍콩 총 인구는 733만3200명으로 여름 동안 홍콩인 한 명당 1.2회 선전에 입국한 셈이다.

온라인 전자상거래 플랫폼 샤오홍슈와 틱톡에서 홍콩인들이 공유하는 선전 쇼핑 경험도 점점 더 많아지고 있다. 선전 주민들은 "평생 그렇게 많은 홍콩인을 본 적이 없다"며 "주말만 되면 홍콩에 온 것 같다"는 반응이다.

선전시 관광협회에 따르면 홍콩인들이 이처럼 '북상(北上) 소비'에 나서는 이유는 지난 3년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소비 열기가 누적된 데다가 최근 위안화 환율이 계속 하락했기 때문이다.

중국 네티즌은 홍콩인들의 수입이 낮아진 것 같다며, 선전의 물가만 안 올리면 좋을 것 같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홍콩의 이 같은 현상은 조만간 한국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미 한국 소비자들이 중국 플랫폼들을 통해 중국의 값싼 제조품을 직접 구매하는 사례가 갈수록 늘고 있다. 배송기간이 일주일 이상으로 긴 것 빼고는 장점이 훨씬 많다는 소리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들린다.

문제는 소비재 제조를 중국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면 한국 경제의 중국에 대한 종속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이다. 

중국 네티즌들도 신기해하는 '홍콩의 대륙 역소비 현상'이 한국에게는 향후 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우려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