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세계 과학저널 논문 기여국 순위, 1위 중국

 

중국이 지난해 세계 상위 과학 학술지들에 발표된 연구 논문들의 최대 기여국에 등극했다.

연구 논문의 인용 건수가 많다는 것은 그 연구 결과를 존중하는 과학자들이 많다는 의미다. 중국의 논문을 참고하지 않고는 해당 분야 연구를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중국이 세계의 공장, 즉 세계의 손발에서 이제는 세계의 지식보고, 즉 세계의 머리로 그 위상 전환에 성공하고 있다.

2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과학저널 네이처가 최근 발표한 '네이처 인덱스' 예비 자료에서 중국은 셀, 네이처, 사이언스,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등 자연과학 분야의 세계 최고 82개 저널에 발표된 논문들에서 1위에 올랐다.

지난해 네이처 인덱스 점유율에서 중국은 1만9400, 미국은 1만7610을 기록했다. 특히 중국은 처음으로 지구·환경과학 분야에서 미국을 제쳤다.

중국의 연구 논문 기여도는 최근 10년 간 꾸준히 증가했으며 2021년에는 물리학, 화학에서 이미 1위에 올랐다. 2018∼2020년 전 세계 상위 1% 피인용 논문 기여도에서 중국은 27.2%로 1위, 미국은 24.9%로 2위를 기록했다.

다만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여전히 미국에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연구개발(R&D) 자금은 3조 위안(약 559조 원)으로 세계 2위를 기록했다.

중국은 연구개발 분야가 미중 신냉전의 최전선으로 떠오르면서 수년 전부터 기초과학 연구분야에 정부 차원의 지원을 쏟아붓고 있다.

2021년 3월 리커창(李克强) 총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에 제출한 정부 업무보고에서 "기초연구는 과학기술 혁신의 원천인 만큼 안정적으로 기초 연구를 위한 자금 조달이 가능하게 보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당시 중국 정부는 2035년까지의 장기 경제 계획 차원에서 인공지능(AI), 양자 정보, 집적회로, 뇌과학, 유전자 및 바이오 기술, 임상의학 및 헬스케어, 우주·심해·극지 탐사 등 7대 첨단 과학기술 영역 연구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겠다는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