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랫폼의 배달료는 높을수록 좋을까? 낮을수록 좋을까?
사실 그때 그때 입장에 따라 다르다. 배달료가 높으면 배달 노동자들이 좋고, 낮으면 소비자들이 좋다. 판매자 입장에서는 배달료가 높으면 배달원 확보가 쉬워서 좋고, 낮으면 소비자들이 늘어서 좋다.
최근 중국에서 프랜차이즈 가맹점 맥도날드, KFC 등의 배달요금이 논란이 되고 있다.
현재 베이징 맥도날드 및 KFC의 기본 배달요금은 9위안(약 1900원)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퇀 등 생활서비스 플랫폼의 배달요금이 1~2위안이고 무료 배달을 진행하는 곳도 있는 것을 감안하면 9위안은 꽤 비싼 편이다.
이번 논란에 대해 중국 네티즌은 9위안이 정상적인 가격일 수도 있다며, 생활서비스 플랫폼의 낮은 배달요금은 배달원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것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네티즌은 "9위안이 정상적인 가격일 수도 있잖아요. 메이퇀의 배달요금은 노동력을 착취하는 것"이라고 했고, 또 다른 네티즌은 "맥도날드는 노동자를 보호하고 합당한 보상을 하는 것"이라고 의견을 밝혔다.
대체로 배달 노동자들의 임금이 낮다는 데 공감하는 모습이다.
9위안이 정상적인 가격일 수도 있잖아요. 메이퇀의 배달요금은 노동력을 착취하는 거예요.
꼭 가격을 내릴 필요는 없는 것 같아요. 배달원분들 돈 더 벌게 합시다.
배달요금 9위안은 괜찮아요. 그런데 매장에서 구매하는 것과 제품 가격이 다른 건 아닌 것 같아요!
맥도날드는 노동자를 보호하고 합당한 보상을 하는 거예요.
9위안이 비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거면, 설마 2위안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하는 건가요?
패스트푸드는 안 먹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