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내 한국 제품 인기 크게 하락, 中네티즌 "왜 한국 제품을 사야 하나요?"

 

"왜 한국 제품을 사야 하나요?"

중국 네티즌의 반응이다. 한국 수출 전선에 짙게 드리운 먹구름이 좀처럼 걷힐 기미가 보이지 않는 배경의 한 단면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 한국 수출 감소의 가장 큰 원인은 중국이다. 대중(對中) 무역수지는 반도체를 포함한 대다수 품목의 수출액이 전년 대비 감소하면서 여섯 달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3월 대중 무역 수지는 27억7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 6개월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갔다.

3월 대중 수출은 작년보다 33.4% 감소한 104억2000만 달러로, 10개월 연속 줄었다. 이는 반도체뿐 아니라 석유화학(-37.9%), 무선통신(-43.2%) 등 대다수 주요 품목의 수출액이 큰 폭으로 줄어든 영향이다.

한국 내 분석기관의 대체적인 분석은 '미국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구조적 문제'라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중국 상하이의 코트라 지사가 중국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한국 제품의 인기가 과거보다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간단히 중국 소비자 상당수가 "최근 몇년간 한국 제품을 사본적이 없다"고 답했다.

이 같은 현상은 화장품에서 자동차, 스마트폰까지 공통되게 나타나고 있다. 물론 사드 등 중국 소비자들의 감정을 상하게 하는 많은 정치적 사건이 있었지만, 그것만으로 이해하기에는 상황은 더욱 복잡하고 심각해 보인다.

한국 제품을 몰아낸 것이 중국 자체 브랜드들이었기 때문이다. 결국 제품의 경쟁력에서 한국 기업들이 중국 본토 기업에 내몰리고 있다는 게 중국 매체들의 지적이다.

중국 매체들의 이 같은 보도에 달린 중국 네티즌들의 반응 역시 크게 다르지 않다.

중국 네티즌은 "한국에 살 만한 게 뭐가 있냐"며 심지어 "한국의 어떤 제품도 사본 적이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저는 사본 적도 없어요.

 

저는 한국의 어떤 제품도 사본 적이 없어요.

 

제가 왜 한국 제품을 사야 하나요? 사지 않아도 삶에 어떤 영향도 없잖아요.

 

한국은 반중국적이에요. 적의 제품은 최대한 안 사는 게 좋아요.

 

한국에 살 만한 게 뭐가 있나요? 성형 수술이요?

 

한국인의 인품은 좋지 않습니다. 아무리 좋은 물건이라도 안 살 거예요.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