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난해 1∼11월 판매된 세계 전기차 10대 중 4대는 중국차

 

'10대 중 4대'

지난해 세계에서 팔린 전기자동차 10대 가운데 4대가량은 중국차로 조사됐다. 중국 자동차 산업 굴기의 현주소다.

중국은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이 된 지 오래다.

이 시장에서 어떤 브랜드가 성공하느냐가 세계 시장에서 성공하느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중국 제조 차량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힘을 받는 이유이기도 하다.

세계 자동차시장 전문 조사기관 '마크라인즈'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세계 전기차 판매량 680만대 중 중국차가 290만대(42.6%)로 1위를 차지했다.

테슬라를 비롯한 미국차는 210만대(30.9%)가 팔려 2위, 폭스바겐과 르노 등 유럽차는 120만대(17.6%)로 3위를 기록했다.

중국, 미국, 유럽차가 세계 전기차 판매량의 약 90%를 차지했으며 일본차(도요타, 혼다 등)는 2.9%(20만 대)에 그쳤다.

'마크라인즈'는 비야디(比亞迪, BYD), 상하이자동차(SAIC), 웨이라이(蔚來), 샤오펑(小鵬) 등 전기차 메이커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조금 지급이 판매량 증가의 주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 당국이 자동차 산업 육성에 얼마나 힘쓰는 지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사실 자동차 산업은 제조업 가운데 전후방 연관 효과가 가장 큰 산업 중 하다.

글로벌 주요 제조국들 가운데 자동차 산업을 육성하지 않은 나라가 없을 정도다. 미국은 한 때 세계 최대 자동차 생산국이었다. 유럽의 독일이 그랬고, 아시아에서 일본이 그랬다. 

한국 역시 비슷한 발전의 경로를 겪고 있다. 한국에서 자동차 산업 발전을 위해 경쟁 체제가 자리 잡도록 하는 등 새로운 발전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편 중국 1위 토종 전기차 업체인 비야디는 올해 400만대의 신에너지차 생산 목표를 세웠다고 5일 밝혔다.

BYD는 작년 3월부터 내연기관차 생산 중단을 선언하고 전기차 생산에 전념해 지난해 유럽 시장에서도 인기를 끌었다. 지난해 신에너지차 누적 생산량이 전년 대비 152% 증가한 186만8천여 대에 달했다.

중국승용차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중국 신에너지차 누적 소매 판매량 순위는 BYD가 157만6000대(31.3%)로 1위, 상하이자동차가 40만3000대(8%)로 2위, 테슬라가 39만8000대(7.9%)로 3위에 올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