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2년 중화권 상장 기업 시가총액 최종 순위 Top 5, 1위 텐센트홀딩스

 

'5000조 원'

지난해 중화권 증시에서 사라진 돈이다. 어머어마하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심한 이유를 보여주는 또다른 증거다.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하면서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는 정부가 돈을 쏟아냈다. 마구 찍어 뿌렸다. 결국 자산의 버블을 만들었고, 코로나 팬데믹이 엔데믹으로 바뀌면서 이 버블이 터진 것이다.

중국, 홍콩, 대만 등 중화권 증시에서만 버블로 사라진 돈이 5000조 원인 것이다. 

중국만이 아니다. 미국, 유럽이 그랬고 한국도 그랬다. 한국 증시 역시 지난해부터 바닥을 기고 있다. 미국의 달러는 이 가운데도 유독 가치를 유지해 세계 기축통화로서 기염을 토했다.

세상의 모든 가치는 결국 달러를 기준으로 측정되는 것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중국이 그토록 위안화 기축 통화에 힘썼지만, 달러 지위에 다다르기에는 아직 요원해만 보인다. 

2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중화권 상장 기업 시가총액이 3조9000억 달러(약 5000조 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변화는 빅테크들의 하락폭이 컸다는 점이다. 코로나19 봉쇄로 인한 경기 침체의 여파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공동부유 정책 기조에 따른 정부 당국의 규제가 빅테크 성장의 발목을 잡았다는 분석이다. 지난달 31일 기준, 범중화권 상장 기업의 시장 가치 Top 5는 다음과 같다.

 

1위 텐센트홀딩스, 2조8571억 위안

2위 TSMC, 2조6905억 위안

3위 구이저우마오타이, 2조1695억 위안

4위 알리바바, 1조6318억 위안

5위 공상은행, 1조4818억 위안

 

시장가치 상위 5개 기업 모두 2021년 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보였다. 특히 TSMC는 하락폭이 가장 큰 –32.37%로 전년도 시가총액 1위 자리에서 한 계단 내려왔다.

또 텐센트홀딩스와 구이저우마오타이의 하락폭은 각각 –20.38%와 -15.76%이었으며, 알리바바와 공상은행의 하락폭은 각각 –22.60%, -5.05%였다.

시가총액 상위 20위 안에는 5대 기업 외에 건설은행, 차이나모바일, 농업은행, 메이퇀, 중국은행, 중국석유, 핀둬둬, 징둥 등이 포함됐다. 특히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는 전년 대비 52.80% 성장하며 아홉 계단 상승한 17위에 올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