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틱톡숍,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 순위 4위에 올라

 

중국의 세계 공략이 이어지고 있다. 

과거 중국은 그 자체로 세계 최대의 시장이었다. 세계 거의 모든 제조사들이 중국에서 생산을 하면서 '세계의 공장'이라고 불렸다.

하지만 이제 달라졌다. 중국 제조사들이 세계적 수준의 생산기술, 첨단기술을 확보하고 중국을 떠나 세계 각국으로 진출하고 있다. 

아시아는 중국이 가장 공을 들이는 시장이다. 글로벌 경제에 거의 마지막 남은 대규모 미성숙 시장이다. 세계 인구의 3분의 1가량이 있고, 무엇보다 중심 연령대가 젊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중국의 진출은 제조사 뿐이 아니다. IT첨단 플랫폼들의 진출도 빠르게 늘고 있다.

대표주자는 중국판 구글인 바이두의 텐센트, 알리바바, 틱톡 등이다. 

최근 중국 IT매체 iDoNews에 따르면 중국의 틱톡숍(TikTok Shop)이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 순위에서 4위를 차지했다. 전달과 비교해서 순위가 한 계단 떨어졌지만 우수한 성적을 보여줬다.

틱톡숍은 중국 빅테크 기업 바이트댄스의 인기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온라인 쇼핑몰이다. 세계적인 경기 불황 여파로 아마존, 트위터,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메타) 등이 대대적인 감원에 나섰지만 틱톡숍은 이용자 폭증으로 신규 직원 채용을 발표하는 등 반대 행보를 보이고 있다.

틱톡을 활용한 마케팅 또한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시장의 주도적인 트렌드로 꼽힌다. 틱톡은 엔터테인먼트 요소를 결합해 만족도를 극대화시키는데 베트남 온라인 시장에서 기존 광고 및 마케팅보다 판매율 제고 효과가 훨씬 뛰어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편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 순위 1위는 동남아시아 최대 온라인 쇼핑몰인 쇼피(Shopee)가 차지했다. 라자다(Lazada)는 2위를 차지했지만 좋지 않은 성적을 보였다. 10월 Lazada의 점수는 전달보다 47.5% 하락했으며 Shopee보다 무려 4.8배 낮았다.

아시아 전문가들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베트남, 필리핀, 태국, 말레이시아 등이 아시아 주요 시장이다. 인도도 있지만, 인도 시장은 중국보다 더 공략하기 어려운 시장으로 꼽힌다. 

현재 일본이 가장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도 남방정책 등을 펼치며 주력하고 있다. 아세안 시장에 대한 각국의 구애가 뜨겁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