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여자를 알려면 노비 노(奴)를 알아야.

모파상의 ‘여자의 일생’은

여성의 삶이

동양은 물론, 서양에서

얼마나 서글픈지,

얼마나 부조리한지 보여준다.

 

흔히 삼종지의(三從之義)라 했다.

어려서는 부친을 따르고,

결혼해선 남편을 따르면,

늙어서는 자식을 따른다는 말이다.

 

모파상의 소설도

삼종지의에 대한 서양적 진실이다.

 

동양은 일찍이 모계사회였다고 하는데,

갑골자로 본 여성은

너무도 일찍이 순종의 덕을 실천하는 모습이다.

 

계집 녀(女)는 누가 봐도

한 여성이

무릎 앞에 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앉아 있는 모습이다.

 

그 여성이

아이를 안고

젖을 먹이는 게

어미 모(母)다.

 

계집 녀(女)에서

젖가슴이 강조됐다.

 

가장 단순하지만

가장 아름답고

가장 숭고한 모습이다.

 

재미있는 게

어미 모(母) 자형의 발전이다.

계집 녀(女)의 모습이 조금씩 사라진다는 것이다.

예서에서 어미 모(母)는 어미일 뿐이다.

계집 녀(女)의 모습이 글자 속으로 사라진다.

 

계집 녀(女) 발전사에 가장 서글픈 모습이 노비 노(奴)다.

여성의 팔을 비틀어

뒤로 잡아채는 모습이다.

 

여성을 뒤로 낚아채

마음대로 하는 게 노예다.

 

낯선 사내에 이끌려

낯선 곳에서

온갖 잡일을 다하며

아이도 낳아야 했던 게 노예다.

손에 이끌린 여성이다.

 

그 마음이 오죽했으랴,

노예의 마음,

그게 분노의 노(怒)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