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2024년 100대 온라인 소매유통 플랫폼’의 매출 규모는 총 1조 9,100억 위안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한화로 365조 8,987억 원에 달하며, 전년도 100대 온라인 소매유통 플랫폼 매출 총액보다 2.7% 늘어난 수치다. 한국의 2022년 온라인 유통 시장의 규모는 약 150조 정도다. 8일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체인경영협회는 지난 6일 이 같은 중국 온라인 유통회사들의 실적을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온라인 소매 Top100 기업의 온라인매출 규모가 1조 9,100억 위안에 달해 동기 대비 2.7% 증가하였다. 이번 순위에 오른 기업들은 전자상거래 기업 8개, 실물 소매 기업 47개, 소비재 기업 45개를 포함하였다. 상위 3개 기업은 각각 징둥닷컴, 알리바바, 웨이핀후이로, 3개 기업의 네트워크 판매 규모는 모두 천억 위안을 넘어섰으며, 전년 대비 각각 0.7%, 6.4%, 8.6% 증가했다. 증가 속도와 성장 측면에서 보면, Top100 기업 중 네트워크 판매가 증가한 기업은 65개였고, 그중 두 자릿수 이상의 성장을 달성한 기업은 38개(전자상거래 기업 2개, 실물 소매 기업 19개, 소비재 기업 17개)
'7억 1,100만 건, 거래액은 52조 4,200억 위안' 지난 7월 중국 선물시장의 거래 건수와 거래 총액이다. 한화로 무려 '1경 82조 9,870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중국 선물시장의 규모를 보여준다. 중국은 자본시장 고도화 차원에서 자국내 선물 시장을 꾸준히 개설하고 있다. 선물 투자 시장은 자본에 대한 투자 차원의 시장과 농산물이나 광물 등 자원에 대한 개발과 유통을 촉진하는 선물시장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이 같은 선물시장은 위안화로 구매 가능한 자원의 수량을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기축 통화 구축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중국 선물시장의 거래액은 동기 대비 6.64% 증가한 수준이다. 중국 선물업협회가 발표한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7월 전국 선물 거래 시장의 거래량은 단일 기준으로 7억 1,100만 건, 거래액은 52조 4,2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3.53% 감소하고 2.76% 증가했다. 올해 1월부터 7월까지의 누적 거래량은 41억 7,100만 건, 누적 거래액은 333조 9,4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2.62% 감소하고 6.64% 증가했다. 거래소별로 살펴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상해선물거래
올 상반기 중국의 혼인건수 동기 대비 49만 8천쌍이 줄었다. 이는 지난 1980년 이후 최저 기록이다. 6일 중국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민정부가 2024년 2분기 민정 통계 데이터를 발표했다. 이 발표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결혼 등록 건수가 343만 건에 불과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392.8만 건에 비해 49만 8천 건이 감소한 수치다. 이혼 등록 측면에서는, 상반기 등록 건수가 127만 4천 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31만 7천 건에 비해 4만 3천 건이 감소했다. 최근 몇 년 간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 상반기 결혼 등록 건수가 하반기보다 낮았던 것을 제외하고, 최근 10년 동안 상반기 결혼 등록 건수는 일반적으로 하반기보다 높았다. 이는 춘절 등 전통 명절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명절 기간에 결혼식을 올리기를 선호한 것과 관련이 있었다. 주목할 만한 점은 2024년 상반기 결혼 등록 건수가 2014년 같은 기간의 694만 건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결혼 등록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추적한 인구학자 허야푸는 인터페이스 뉴스에 "매년 반복되는 규칙에 따라 추정해보면, 2024년 연간 결혼 등록 건수
대리모, 아이를 대신 낳아주는 여성을 말한다.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성들을 위해서 꼭 필요하다 싶지만, 실제는 아이를 낳는 불편함을 떠넘기는 행위 탓에 인권 문제가 나온다. 그리고 낳은 아이에 대한 양육권 자체의 문제도 생긴다. 중국에서 최근 이 대리모가 크게 늘면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될 조짐이다. 중국 당국이 대리모 게시물이 끊이지 않자, 주요 플랫폼 규제하겠다고 나섰다. 중국 네티즌들은 "돈만 밝히는 플랫폼들을 적극 규제해야 한다"고 정부 입장을 옹호하고 나섰다. 지난달 31일 펑파이 뉴스는 <’대리모’, ‘대리모 도움 임신’ 게시물이 끊이지 않는 이유: 일부 회사는 78만 위안(약 1억 4,762만 원) 패키지로 성별을 지정할 수 있다고 주장>이라는 제목으로 일부 플랫폼에서 여전히 ‘대리모’, ‘대리모 채용’ 등의 내용을 발견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당일 오후, 중국 SNS 샤오홍슈 관련 직원은 펑파이 뉴스에 플랫폼에서 대리모 광고 게시를 금지하고 있으며, 31일 펑파이 뉴스의 보도가 나온 후 회사의 관련 부서가 조사를 시작하여 관련 대리모 광고의 연계를 명확히 하고, 실제로 위반 계정과 내용이 존재할 경우 플랫폼에서 퇴출 조치할 것이라고 밝
올 상반기 중국의 부가가치세 관련 1심 사건 심의 건수가 전년동기 대비 190% 가량 폭증했다. 중국 당국이 적극적인 과세에 나선 때문이라는 게 중국 매체들의 분석이다. 중국 세수 저항도 상대적으로 거세질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중국의 가렴주구라는 말은 백성을 착취하는 세무 관리들 탓에 나온 말이다. 중국 공산당의 대응이 주목된다. 중국 인민법원에 따르면 각종 사건 2,317만 건을 접수하여 전년 동기 대비 3.9% 증가했으며, 증가 폭은 전년 동기 대비 13.44%p하락했다. 2,117만 건의 사건을 종결하여 전년 동기 대비 2.18% 증가했다. 그중 소송 전 조정에 성공한 사건은 636만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17% 증가했다. 각종 재판 및 집행 사건 1,681.2만 건을 접수하여 전년 동기 대비 0.91% 감소했고, 1,481만 건을 종결하여 전년 동기 대비 3.72% 감소했다. 중국 주요 부처 8곳이 공동으로 허위 세금계산서를 정기적으로 심층 단속하면서 특별부가가치세 계산서 불법판매 및 수출세 환급 허위 1차 사례가 전년 대비 각각 190%, 48.15% 증가했다. 재판 및 집행 사건의 전반적인 접수 건수는 소폭 감소했다. 형사 사건은
올 상반기 중국의 규모 이상 온라인 기업 영업 이익은 동기 대비 5.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 성장목표치를 웃도는 성장이다. 한 국가의 부가가치 성장에 가장 중요한 것은 기업들의 영업이익 규모다. 한 국가내의 각 경제주체들이 생산해 내는 부가가치의 합이 지역총생산(GDP)이다.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중국의 규모이상 온라인 관련 기업들의 영업이익을 발표했다. 공업정보화부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국의 규모이상 온라인 및 관련 서비스 기업(이하 온라인 기업)의 영업 이익은 8,676억 위안(약 164조 5,143억 위안)으로 동기 대비 5.6% 증가하였고 1월~5월에 비해 0.6%p 빠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기업이 지속적으로 플러스 성장을 보인 것은 R&D 비용을 안정적으로 증가한 덕분이다. 지난 상반기 중국의 규모이상 온라인 기업의 영업 비용은 동기 대비 0.2% 하락하였고 이윤 총액은 743억 7천만 위안(약 14조 1,020억 원)으로 동기 대비 1.9% 증가하였다. 증가폭은 1월~5월에 비해 14.7%p 상승하였다. 전체 R&D 비용은 459억 8천만 위안(약
올 상반기 중국의 사회 물류 총액이 동기 대비 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제조가 그만큼의 부가가치를 더 만들어 공급했다는 의미다. 지난 30일 중국물류 및 구매연합회는 상반기 전국사회물류총액이 167억 4천만 위안(약 3조 2,006억 원)에 달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고 밝혔다. 그 중 1분기와 2분기는 각각 5.9%, 5.7% 성장했으며, 지난해 4분기 이후 비교적 빠른 성장세를 이어갔다. 사회물류총액은 지속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월별 성장세는 비교적 안정적이었고, 전년 동기 대비 변동 폭은 다소 줄어들어 물류 수요와 경제 회복이 안정적이고 조화롭게 회복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산품, 농산품 물류는 안정적인 성장을 유지했으며, 이 두 항목의 합계 기여율은 80%를 넘었고, 사회물류총액의 증가를 4.9%p 견인해 여름철 곡물 공급과 산업 생산 등 중요한 분야의 물류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하였다. 친환경 녹색 순환으로 전환되면서 재생 자원 분야는 비교적 빠른 성장을 유지했으며, 다른 분야보다 뚜렷한 성장세를 보였다. 민생 소비와 수입 분야의 물류 총액은 소폭 줄어들었고, 이전보다 성장세가 다
'5,250억 위안' 한화로 100조 3,800억 원 가량이다. 올 상반기 중국의 문화관련 산업의 총이익 규모다. 전년 동기 대비 9% 가량 성장했다. 두자릿수 성장은 아쉽게 못했지만, 9%에 가까운 놀라운 성장세를 유지하는 것이다. 중국의 문화산업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제는 양보다 질적인 성장이 추구 되고 있어 주목된다. 중국은 역사 속에서 가장 화려한 문화 유산을 가지고 있는 나라다. 중국 국가통계국, 상반기 전국 규모이상 문화 관련 산업 기업 영업 수익 동기 대비 7.5% 성장 상반기 문화 관련 기업은 총 5,250억 위안의 이익을 달성하였고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한 것이다. 전국 7만 7천여개 규모 이상의 문화 및 관련 산업 기업(이하 문화 기업)관련 조사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문화 기업은 6조 4,961억 위안(약 1,237조 5,720억 원)의 영업 수익을 달성하였고,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하였다. 이 중, 문화 새로운 분야로 부상한 16개 산업은 2조 7,024억 위안(약 514조 8,342억 원)의 영업 수익을 달성하였으며, 전년 동기 대비 11.2% 증가하여 전체 규모 이상의 문화 기업보다 3.7%p 빨랐
올 2024년 상반기 중국의 금 생산량 179.634톤, 동기 대비 0.58% 증가했다. 금은 흔히 안정자산이라고 한다. 사실상 국가의 보증없는 거의 유일한 화폐 역할을 금이 한다는 의미다. 자체 가치를 글로벌 누구나 다 인정하는 게 이 금의 특징이다. 또 최근 인공 광물로 대체되는 다이아몬드와 달리, 금은 여전히 자연이 만들어 금만이 글로벌 시장에 유통되고 있다. 즉 채굴되지 않으면 세계 금의 유동량은 변화가 없는 것이다. 중국은 역사이래로 금을 아끼는 민족 중 하나였다. 역사 속에서 공인 재산 축적의 방식이 금을 축적하는 것이었다는 의미다. 중국의 채굴량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금값이 오르는 소리는 여전히 그치지 않고 있다. 2024 중국 국제 금 박람회 공식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중국 금 생산량은 179.634톤으로, 2023년 동기 대비 1.036톤 증가하여 전년 동기 대비 0.58% 증가하였다. 또한, 2024년 상반기 수입 원료 금 생산량은 72.026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14% 증가하였으며, 수입 원료 금을 포함하면 전국적으로 총 251.660톤의 금을 생산하여 전년 동기 대비 3.14% 증가하였다. 보고서에
올 상반기 중국 게임 유저 규모가 약 6억 7,40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0.88% 증가한 수치다. 중국 세계 최대 단일 게임시장이다. 중국 시장을 잡지 않고서는 게임 업체의 글로벌 석권은 사실상 요원해지는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중국 매체들은 최근 발표된 중국 정부의 '2024년 1-6월 중국 게임 산업 보고서'를 인용 이 같이 보도했다. 이번 보고서는 지난 25일 상하이에서 개최된 중국 글로벌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산업 대회(CDEC)에서 발표됐다. 중국 음향 및 디지털 출판 협회 장이쥔 제1부 이사장 겸 게임위 주임위원이 직접 발표했다고 중국 매체들은 전했다. 장이쥔 위원은 회의에서 올해 1-6월 국내 게임 시장의 실제 판매 수입이 1472억 6,700만 위안(약 28조 1,45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8% 증가하였으며, 성장 추세는 비교적 안정적이라고 밝혔다. 게임 유저 규모는 6억 7,400만 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0.88% 증가하여 다시 한 번 신기록을 세웠다. 해외 시장에서는 1-6월 미국, 일본, 한국이 여전히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의 주요 해외 시장으로, 비중은 각각 33%,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