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9월 중국 자동차 제조업 공업 부가가치 6.9% 증가

 

'6.9%'

올 1~9월간 중국 자동차 제조업 부가가치 증가액이다. 간단히 말해 중국 자동차 산업의 GDP 성장률이다. 

자동차 산업은 전후방 효과가 큰 산업이다. 자동차는 집 다음으로 한 가구가 소비하는 고가 제품이지만, 산업 발전과 함께 가구 필수품이 된 지 오래다. 선진국의 경우 1가구 2차량이 기본이다. 한 집에서 아빠 차, 엄마 차 혹은 가족 공용 차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자연히 제조업이 발전한 나라에서는 자동차 산업을 육성하려 노력한다. 이 자동차 산업이 발전한 나라들이 바로 제조업 강국들이다. 독일이 그렇고, 일본이 그렇다.

그보다 앞서 세계 자동차 산업을 선도했던 것은 미국이다. 미국의 경우 독일, 일본 등에 밀리면서 자동차 산업이 조금씩 쇠퇴하는 상황이다. 

IT산업의 발전이 이 자동차 산업을 대신하고 있는데, 문제는 IT산업은 고용 면에서 국가에 끼치는 효용이 자동차 산업에 비해 적다는 것이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中国汽车工业协会)가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중국 자동차 제조업 부가가치 및 판매 총액 데이터를 밝혔다.

협회는 이번 데이터를 종합했을 때 중국의 자동차 제조업 부가가치가 비교적 빠른 성장을 이뤘다고 밝혔다.

지난 1~9월 중국 자동차 제조업의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6.9% 증가해 1~8월 대비 2.4%포인트 높았다.

9월 한달간 자동차 제조업 부가가치는 전년 동기 대비 23.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 규모 이상(规模以上) 산업의 부가가치보다 17.4% 높았으며 산업 경제에 큰 영향을 주었다.

판매액과 관련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9월 중국의 자동차 소매 판매액은 33억174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했으며, 성장률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전환되어 전체 사회소비품 판매 총액의 10.4%를 차지했다.

9월 한달간 중국의 자동차 소매 판매액은 4억2130만 위안이었다. 전년 동기 대비 14.2% 증가하여 성장 속도가 같은 기간 전체 사회소비품(社会消费品) 소매 판매 총액의 성장 속도보다 11.7% 높았다. 특히 사회소비품 소매 판매 총액의 11.2%를 차지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