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최근 10년간 중국 장비공업 부가가치 연평균 8.2% 증가

 

'8.2%'

지난 10년간 중국의 장비공업 부가가치 연평균 증가액이다.

장비공업은 기초산업에 속한다. 장비공업이 발달해야 다른 산업이 덩달아 생산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장비공업이 10년간 연평균 8% 이상 성장했다는 것은 복리를 감안하면 대략 두 배의 성장을 이뤘다는 얘기다. 

중국 공업정보화부(工信部)는 지난 10년간 중국 장비공업의 부가가치가 연평균 8.2% 증가했다고 6일 밝혔다.

공업정보화부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 장비공업 산업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됐다. 2021년 기준 장비공업 산업의 규모이상(规模以上) 기업은 10만5100개으로 2012년보다 45.30% 증가했다.

2021년 기준 규모이상 장비공업 기업들의 자산총액, 영업수입, 이윤총액은 각각 28조8300억 위안, 26조4700억 위안, 1조5700억 위안으로 2012년 대비 92.97%, 47.76%, 28.84% 증가했다. 수출인도액은 2조5500억 위안에 달해 2012년 대비 5.29% 성장했다.

특히 장비공업 중 전략성 신흥산업(战略性新兴产业) 관련 업종의 영업수입은 20조 위안으로 전년 대비 18.58% 성장했다. 자동차 보유량은 2012년의 1억2000만 대에서 3억1000만 대로 증가했고, 신에너지 자동차 생산량은 7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공업정보화부는 전반적으로 중국 장비공업이 발전 단계에 있지만 산업 인프라가 취약하고 산업 사슬이 끊어질 위험이 존재해 아직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고 설명했다. 그에 대한 개선책으로 산업 인프라와 산업 사슬의 현대화 수준을 높이는 고급화, 스마트화, 녹색화 전환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업정보화부의 이번 발표처럼 최근 중국에서는 10년간의 발전 현황을 짚어보는 일이 적지 않다. 현 시진핑 정부 출범 10년의 성과를 되돌아 보는 것이다. 중국 당국의 이 같은 태도는 시진핑 정권의 제 3기 출범이 머지 않았음을 짐작케한다.

중국은 오는 2049년을 두 번째 100년 계획의 완성기라도 보고 있다. 덩샤오핑 시절 중국은 공산당 창당(1921) 이후 100년, 중국 건국(1949) 이후 100년 등 두 개의 100년을 기준점 삼아 발전 목표를 세우고 매 5개년씩 경제계획을 수립해왔다. 

 


사회

더보기
중국 '전문 학사' 제도 상용화되나
중국에서 ‘전문학사’ 양성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최근 정저우철도직업기술대학이 2025년 단독 시험 모집 요강에서 여러 전공에서 학사 졸업생을 모집한다고 명확히 밝혔다. 대졸자를 대상으로 새롭게 전문 직업교육을 하는 과정이다. 이에 따라 ‘학사→전문학사(본승전)’ 현상이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사실, 직업대학이 학사 출신을 모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었다. 광둥 영남직업기술대학은 최근 2년간 기술 자격증을 다시 취득하려는 학사 및 석사 졸업생을 모집했고, 누적 인원이 150명을 넘었다. 산둥 칭다오 기술사양성학원은 2009년부터 ‘대학생 기능사반’을 개설해 지금까지 10여 기를 운영했으며, 이들 중에는 산둥대, 베이징과학기술대 등 ‘985’, ‘211’ 대학 출신 학사 졸업생도 있었다. 단지 고등직업학교가 단독 모집에서 학사생을 모집하는 데 그치지 않고, 일부 학사생들이 다시 전문 기술을 배우기 위해 ‘재진학’을 선택하기도 했다. 심지어 최근 몇 년간 직업학사 교육이 점차 자리 잡으면서, 일부 고득점 수험생들이 명문대를 포기하고 직업학사대학을 택하기도 했으며, 이는 사회 전반의 직업교육에 대한 편견을 지속적으로 뒤집고 있는 흐름이었다. 이러한 현상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