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브랜드 글로벌화 순위 Top 10, 1위 바이트댄스

 

본래 중국은 세계적인 브랜드를 가진 나라였다.

인류의 4대 발명품이 모두 중국에서 나왔다. 하지만 그 뒤 공업화가 뒤지면서 중국 브랜드는 골동품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중국은 개혁개방과 함께 '세계의 공장'이라는 명성을 얻었다.

싸구려 저품질 제품을 대량 생산해 글로벌 생필품 시장을 공략했다. 그러면서 조금씩 품질을 높여 중가, 고가 제품군을 내놓으며 브랜드 가치를 쌓아왔다.

최근 IT굴기에 성공하면서 중국 브랜드는 이제 더 이상 저가, 저품질 제품만을 의미하지 않았다. 가성비 좋은 '샤오미'는 우수한 디자인으로도 유명하다.

해외 시장은 '중국의 실수'라고 부르며 샤오미의 성공을 반겼다. 하지만 그도 오래지 않아 이제 샤오미는 더 이상 중국의 실수가 아니다. 중국의 실력이다.

최근 이 같은 중국의 브랜드 굴기 속에 중국 브랜드의 글로벌화 순위가 발표됐다.

영국, 미국, 호주, 브라질, 인도 등 11개 해외 시장에서 117만 명이 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해 소비자들의 브랜드 성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한 결과이다. 브랜드력을 바탕으로 평가된 것으로, 해외 소비자의 중국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가늠할 수 있다.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바이트댄스 (브랜드력 2484점)

2위, 알리바바 (브랜드력 2258점)

3위, Lenovo (브랜드력 1898점)

4위, 샤오미 (브랜드력 1859점)

5위, 화웨이 (브랜드력 1674점)

6위, OPPO (브랜드력 1349점)

7위, Hisense (브랜드력 1241점)

8위, ONEPLUS (브랜드력 1124점)

9위, Haier (브랜드력 1098점)

10위, SHEIN (브랜드력 1070점)

 

순위 중 3, 4, 5, 6, 8위 브랜드는 가전제품 브랜드이다. 즉, 10개의 브랜드 중 5개가 가전제품 영역이라는 것이다.

2021년 순위와 비교했을 때 주목할 점은, 화웨이가 절대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올해 브랜드력이 16% 폭락했다는 것이다. 화웨이는 일부 요소의 영향으로 10위 순위권 브랜드 중 유일하게 브랜드력이 하락한 기업이다. 브랜드력이 폭락해 올해 5위를 기록했다.

다른 기업의 경우 브랜드력이 모두 적게는 1% 많게는 21% 성장했다. 특히 바이트댄스는 지난해 브랜드력이 56% 폭등한 데 이어, 올해 21%인 가장 큰 폭으로 성장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