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벗우(友)와 벗붕(朋) (2)

 

 

 

 

“환난은 같이해도 태평성세는 같이 하기 어렵다”

어려움은 같이 해도, 공을 나누기는 어렵다는 의미다.

 

와신상담(臥薪嘗膽) 고사로 유명한

월왕(越王) 구천(勾踐)에 대한

구천의 책사 범려(范蠡)의 평이다.

 

범려는 BC 497년 오왕(吳王) 부차(夫差)와

부초산(夫椒山) 전투에서

대패한 구천을 도와 최후의 승리자로

만든 이다. 그런 그가 구천을 이렇게 박하게 평한 것이다.

 

본래 그렇다.

어려울 때 나를 봐준 친구라고

내가 성공해도

나를

봐주는 게 아니다.

 

나와 같이 성공을 일군 벗 우(友)라고

반드시 그 성공을 나눌 수 있는 게

아니다. 오히려

성공을 한 탓에 다툼이 생기고

친구와 멀어지게 된다.

 

사실 우리의 벗이라는 개념은

너무도 추상적이다.

감성적이고 좋기만 하다.

 

꿈보다 해몽이 좋다고

최근 이야기 되는 우리말 벗의 어원도 그렇다.

 

앞서 소개한 ‘벌거숭이를 함께 한’이라는 주장 외,

인도에서 왔다는 주장도 있다.

 

우리의 벗의 옛 발음 ‘벋’이 고대 인도어, 범어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이다.

범어의 벋은 ‘물’이라는 뜻이다.

물에서 옷을 벗고 노니 벌거숭이라는 의미와 닿는 면이 있다.

 

벋은 인도 현지에서 ‘빠니’라고 발음됐는데,

이 인도어가 유럽으로 건너가

몸을 의미하는 바디(Body),

친구를 의미하는 버디(Buddy) 등으로 발전했다는 것이다.

 

또 벋은 '뻗어나가다'의 뜻도 있어

사교의 의미가 담겨있다는 주장도 있다.

 

한자의 벗은

그 의미가 세분화 돼 있다.

친구의 친은

어려울 때 찾아주는 이다.

 

벗 우(友)는

같은 방향으로

손을 내밀어 주는 벗이다.

같은 일을 하는

동지요, 동업자다.

 

 

남은 게 벗 붕(朋)이다.

바로

태평성세, 부를 함께 나누는 벗이다.

 

벗 붕은 공자 덕에 유명해졌다.

‘有朋自遠訪來,不亦樂乎!’

‘유붕, 자원방래불역락호’

(친구가 멀리서 찾아오니, 어찌 기쁘지 않은가!)

 

여기서 벗이 붕이다.

한자 좀 쓴다는 이들끼리

벗을 부르는 이름이다.

방귀 좀 뀐다는 이들끼리

벗을 부르는 게 붕우(朋友)다.

 

한자 붕(朋)도

일찌감치 갑골자부터 나온다.

갑골자의 붕은

조개를 꿴 목걸이가

쌍으로 있는 것이다.

조개는 그 옛날의 돈이다.

그런 돈다발을 목에 건

두 인물이 나란히 있는 게

바로 벗 붕이다.

 

 

부자들끼리의 친구다.

태평성세를,

부를 함께 나누는 벗이 바로 붕이다.

 

사실 어려움을 같이 하는

친구를 찾기 힘들 듯

부를 함께 나누는 친구도

찾기 힘들다.

아니, 어려움을 같이 하는

친구보다 더 찾기 어려운 지도 모른다.

 

같은 부자라도

더 부자이고 싶어

시기하고 질투하기 마련이다.

 

환난을 같이

했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갑자기 한 친구가 성공을 하면

 

꼭 시기, 질투가 아니어도

괜히

조금씩 거리가 생긴다.

 

우리에게 벗은 다 같은 벗이지만

한자에서 벗은

어려움을 같이 하는 벗

함께 일을 도모하는 벗

부와 명예를 나누는 벗

으로 나뉘어 있다.

 

어떤 벗이 가장 좋은가?

다 갖춘 벗은 없냐고?

있다. 하지만

평생을 두고 찾기 힘들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