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신규 원전 2기 착공, 2035년까지 원전 설비용량 3.6배 확대

 

중국이 원전 건설에 속도를 내고 있다. 19일 중국신문망에 따르면 중국이 자체 개발한 CPA1000 원자로를 사용하는 산둥성 옌타이시 하이양 원전 3, 4호기가 지난 14일 착공됐다. 2027년 가동 목표로 원전 1기당 설비용량은 125만㎾다. 현재 가동 중인 1, 2호기까지 합치면 하이양 원전의 총 설비용량은 500만㎾로 늘게 된다.

중국은 앞서 지난달에는 랴오닝성 훙옌허 원전 5, 6호기의 가동을 시작했다.

다롄시 해안에 건설된 훙옌허 원전은 중국 최대 규모로 2016년 발전을 시작한 1∼4호기까지 합친 총 설비용량이 671만㎾에 달한다. 중국 최대 수력 발전소인 산샤댐의 29% 수준이다. 연간 480억kWh 전력을 생산해 석탄 1352만t, 이산화탄소 배출량 2993만t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중국은 현재 52기의 원전이 가동 중이고, 19기를 건설 중이다. 현재 5581만㎾인 원전 설비용량을 2025년 7000만㎾, 2035년 2억㎾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이를 통해 2030년 탄소 배출 정점을 찍은 뒤 2060년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는 것이다.

올해 1∼5월 중국 원전의 전력 생산량은 1663억kWh로 전체 전력 생산량의 5.1%를 차지한다.

중국원자력업종협회에 따르면 중국의 원전 기술 자주화율은 90% 이상이며 향후 매년 6∼8기의 신규 원전 건설이 추진될 예정이다.

 


사회

더보기
중국 코로나19 재확산 조짐, 감염자 대부분 경증
지난 연말연시에 이어 중국에서 코로나19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 당국은 이 같은 상황에도 '위드 코로나' 정책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실제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 팬데믹 상황을 공식 해제했듯 중국에서 새롭게 발생한 코로나는 중중률이 낮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다만 코로나 바이러스가 계속 변이종을 만들어 내고 있어, 인류를 여전히 위협하는 상황이어서 방심하기는 이르다는 게 방역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30일 중국 관영지 글로벌타임스는 중국내 코로나19 감염자수가 지난달 말부터 증가해 낮은 수준의 '준(準)유행' 단계에 진입했으며, 감염자의 증세는 대부분 경증으로 파악됐다고 보도했다.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재감염자 다수는 젊은층이며 대체로 1차 감염 때보다 가벼운 증상을 보였다. 방역 전문가들은 통상 코로나19에 감염됐던 사람들의 면역력이 6개월가량 지나면 약해지고, 신종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가 출현하면 코로나19가 다시 확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중국에서는 XBB 변이를 포함한 오미크론 하위 변이가 여전히 우세종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국질병통제예방센터는 XBB 하위 변이체가 15일부터 21일까지 표본 추출한 변이체의 95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