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전기차 토종기업들 5월 실적 양호

 

일론 머스크는 옳았다. 중국 전기차 회사들이 무서운 기세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 시장이 세계 최대 전기자 시장인 데다, 중국 전기차 회사들은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성장세는 파죽지세, 말 그대로 '진격의 전기차'다.

리샹(理想, Li Auto), 웨이라이(蔚來, Nio), 샤오펑(小鵬, Xpeng) 등은 중국의 3대 전기차 토종기업으로 꼽힌다.

2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중국 3대 전기차 스타트업의 5월 신차 인도량이 지난해 동기 대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이와 가까운 장쑤(江蘇)성 창저우(常州)를 근거지로 하는 리샹의 5월 신차 인도량은 작년 동기 대비 160%가량 늘어난 1만1496대에 달했다.

광둥(廣東)성 성도인 광저우(廣州)를 근거지로 하는 샤오펑도 5월 총 1만125대의 전기차를 인도했다. 이는 지난해 5월과 비교해 78% 늘어난 수치다.

광둥성 정부는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자동차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49종의 신에너지 차량을 대상으로 차량 구매 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일반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는 소비자들에게 1만 위안(약 190만 원)의 보조금도 지급하고 있다.

이밖에 웨이라이의 5월 신차 인도량은 지난해 동기 대비 4.7% 늘어난 7000대 가량 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웨이라이의 차량 인도 증가율이 리샹이나 샤오펑에 못 미치는 이유로는 웨이라이가 수도인 베이징에 가까운 허베이(河北)성에 있기 때문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베이징시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다른 도시들에 비해 강도 높은 조처를 하고 있다.

중국 3대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코로나19 봉쇄 조치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실적을 보인 배경에는 이미 구축해놓은 부품 조달 시스템이 적절히 작동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앞서 일론 머스크는 수차례 자신의 트위터 계정을 통해 중국 전기차의 기술력과 중국 전기차 회사들의 노동자들 근무 태도를 칭찬했다. 일부에서는 중국 시장에 의존도가 큰 머스크가 중국 소비자들에게 잘 보이려 한다는 지적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실제 중국 전기자동차 회사들은 실력으로 중국 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조금씩 해외 진출을 꿈꾸고 있다.

중국 투자를 전문으로 하는 이규엽 대성자산운용 대표는 "탄탄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국 전기차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며 "조만간 한국 도로에서도 흔하게 중국 전기차를 볼 날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사회

더보기
중국, 청년 취업난 해결책으로 '新하방' 캠페인 강화
중국 당국이 대졸자 등 청년들의 농촌행을 독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오쩌둥 시대의 청년 실업과 흉년에 따른 농촌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해 지식인과 청년층을 대거 농촌으로 내려보냈던 '하방(下放) 운동'을 연상케하는 조치다. 중국의 대졸자 실업은 최근 20%를 넘어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은 국민들의 일자리를 보장하는 사회주의 국가다. 마오쩌둥 시대만 해도 정부가 교육 수준에 맞춰 모든 국민의 일자리를 정해줬다. 시장주의를 받아들이는 개혁개방 정책을 펼치면서 이 같은 의무는 경제발전을 통한 자연스런 일자리 제공으로 방식을 바꿨지만, 근본적인 취지는 같다. 청년, 특히 대졸자 실업 증가는 정부의 정책 실패며, 이에 대한 책임론이 부각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 당국이 가장 두려워하는 결과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청년 실업률이 5년만에 20%를 넘어선 가운데 중국 당국이 젊은이들의 귀향과 농촌 구직활동을 독려하는 신(新)하방 캠페인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광둥성은 2025년 말까지 대졸자 30만명을 농촌으로 보낼 계획을 세웠다. 지난 2월 발표된 광둥성의 해당 계획에 따르면 대졸자들은 농촌에서 풀뿌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