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지방정부들, 전기차 보조금 확대 전망

 

중국은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이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판매된 전기차 중 절반가량이 중국에서 팔렸다.

그 시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과거 중국은 자동차 산업 발전계획을 세우면서 내연기관 차량을 뒤쫓기 보다 미래 차인 전기자에서 선두적 기술을 확보하겠다는 방침을 마련하고 적극 후원했다. 이제 그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는 것이다. 

지난해 세계 자동차 판매는 공급망 불안과 코로나19 확산으로 4%대의 완만한 성장률을 보인 반면, 전기차 판매는 666만여 대로 전년 대비 110.7% 증가했다.

최근 수년 간 급성장 추세를 보이던 중국 전기차 시장이 코로나19 확산과 주요도시 봉쇄로 인해 판매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자동차연합회에 따르면 4월 1∼3주 전기차를 포함한 중국 내 자동차 소매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39%, 전월 대비 33% 하락했다.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3일 중국 지방 정부들이 직격탄을 맞은 전기차 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보조금 지급' 카드를 꺼냈거나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광둥성 정부는 지난주 49종의 신에너지 차량에 대상으로 차량 구매 시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발표했다. 5월1일부터 6월 30일까지 일반 차량을 전기차로 교체하는 소비자들에게 1만 위안(약 190만 원)의 보조금을 지급한다.

SCMP는 중국 자동차 산업의 중심지인 상하이, 장쑤성, 저장성 등 창장(長江) 유역 성들과 북동부 자동차 산업 중심지인 지린성 등도 보조금 지급 정책을 취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지방정부들은 2019년에도 전기차 구매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을 실시했으나 중앙정부의 지시로 중단한 바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