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위안화 가치 6개월만에 최저 기록

 

중국이 위안화의 국제적인 위상을 끌어올리려 노력하고 다른 나라보다 앞서 법정 디지털 위안화를 추진 중이지만 위안화 가치는 올해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코로나 봉쇄 정치 등으로 중국 경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는 탓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19일(현지시간) 뉴욕시장에서 위안화 가치가 작년 10월 이후 최저 수준인 달러당 6.4221위안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높을수록 위안화 가치는 낮아지게 된다.

블룸버그는 코로나19 확산과 주요 도시 봉쇄로 인한 중국 경제 둔화와 미국 국채 금리 상승이 위안화 가치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지난 18일 발표한 1분기 국내총생산 증가율은 작년 동기 대비 4.8%로 연간 성장률 목표인 5.5%에 미치지 못했다. 특히 3월 소매판매가 3.5% 감소했으며, 3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5%로 1∼2월(7.5%)보다 낮아져 우려를 낳았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인 통화 긴축 가능성에 미 국채 금리와 달러 가치가 오른 것도 위안화 가치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Fed의 공격적인 긴축 기조 속에 최근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중국 국채 10년물 금리를 2010년 이후 처음으로 앞질렀다.

특히 18일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도 배제할 수 없다고 밝히면서 긴축 우려가 커지자 미 국채 30년물 금리는 19일 3년 만에 처음으로 3%를 돌파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