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인 휴대전화 교체 주기는 30개월...스마트폰 출하에 직격

 

'30개월'

중국 소비자들이 휴대폰을 바꾸는 주기다. 직전 조사에서 중국 소비자들의 휴대폰 교체 주기는 25개월이었다. 5개월이 늘어난 것이다. 자연히 중국 휴대폰 판매도 그만큼 줄어들었다는 의미로 보인다.

중국정보통신기술원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1월 중국 국내 휴대폰 출하량은 3302만2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7.7% 감소했다. 국내 휴대폰 출하량 감소는 3개월 연속 전년 동기 대비 증가 이후 처음이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시장에서 '성수기가 성수기가 아니다'라는 말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또 2022년 1~2월 전자정보제조업 가동 현황에 따르면 1~2월 주요 제품 중 휴대전화 생산량은 2억1000만 대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한 수치로 그 중 스마트폰 생산량은 1억5000만 대였다.

중국은 현재 37만2000여 개의 휴대전화 관련 업체를 보유하고 있다. 이 중 2021년 신규 등록기업은 3만9000개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광둥(廣東)·산둥(山東)·허난(河南) 등 3개 지역의 기업이 각각 4만2000여 개, 4만1000여 개, 3만7000여 개로 가장 많았다.

자본금을 보면 기업 자본금의 90% 이상이 100만 위안 이하다. 설립 시기별로는 54.5%가 5년 이내였다. 기업 유형별로는 10곳 중 9곳이 자영업자로 분류됐다.

최근 글로벌테크가 웨이보에 올린 '얼마 만에 휴대폰을 바꿨는가?'를 물은 온라인 투표에서 절반 가까이가 '2년 이상'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시 글로벌테크가 웨이보에 올린 '젊은 사람들은 왜 휴대전화를 바꾸려 하지 않는가?'를 물은 온라인 투표에서는 절반이 '가격 상승'과 '기대에 못 미치는 혁신'을 이유로 꼽았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