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31개 지방정부 올해 목표 성장률 발표...하이난 9% 성장 목표

 

중국의 31개 성(省)급 지방정부가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 목표치를 발표했다.

홍콩 명보에 따르면 면세점 특수를 누리는 하이난(海南)이 가장 높은 9%를 제시했다. 하이난의 올해 면세점 매출 규모는 지난해 대비 70%가량 늘어난 1000억 위안(약 19조 원)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 경제 성장률 12.9%로 중국 전체 1위를 차지한 후베이(湖北)성은 올해 성장률 목표를 7%로 설정했다.

하이난, 후베이를 포함, 올해 목표치 ‘7% 이상’을 제시한 지방정부는 모두 9개다.

산시(山西) 등 12개 지방정부는 ‘6% 이상~7% 미만’을 목표로 설정했다.

나머지 10개 지방정부는 '5% 이상~6% 미만'을 목표치로 잡았다. 중국의 3대 경제 중심지 광둥(廣東), 장쑤(江蘇), 산둥(山東)이 모두 5.5%, 베이징과 톈진이 가장 낮은 ‘5% 이상’을 목표로 설정했다.

31개 지방정부 중 올해 목표치를 작년보다 높게 잡은 곳은 시짱(티베트, 8%), 닝샤(7%), 허난(7%) 등 3곳에 그쳤다.

중국 정부는 지방정부들의 성장 목표치를 토대로 다음 달 열리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올해 경제 성장률 목표를 제시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해 12월 중국 국무원 싱크탱크 사회과학원은 올해 경제 성장률을 5.3%가량으로 예측한 바 있다.

한편,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3일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세계 공급망이 타격받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WSJ은 세계 최대 중간재 공급처인 중국이 강력한 방역 통제와 봉쇄 정책을 지속할 경우, 그 여파로 다른 나라들의 성장률이 낮아지고 물가 상승이 가속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자료를 인용해 공급망 문제가 지난해 세계 경제 성장률을 0.5∼1%포인트 낮추고 인플레이션을 높였다고도 보도했다.


사회

더보기
중 식품체인업체 회장의 "소비자 교육" 발언에 네티즌 발끈, "누가 교육 받는지 보자."
“소비자를 성숙하게 교육해야 한다.” 중국의 전국 과일 판매체인을 운영하는 ‘백과원’의 회장 발언이 중국 소비자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백과원 체인점의 과일들이 “비싸다. 월 2만 위안 월급을 받아도 사먹기 힘들다”는 소비자 반응이 나오자, 회장에 이에 대응해서 “고품질 과일을 경험하지 못해서 무조건 싼 과일을 찾는 것”이라며 “우리는 소비자 교육을 통해 성숙된 소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중국 소비자들은 이에 흥분하며, “우리에게 비싼 과일을 사도록 교육시키겠다는 것이냐”고 반발하며 “정말 누가 교육을 받는지 두고 보자”고 반응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이미 불매 운동이 퍼지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매체들은 ‘소비자 교육’이라는 단어는 업계 전문 용어여서 이 같은 용어에 익숙하지 못한 소비자들이 듣기 불편해 하는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업계 분석에 따르면, 상업 분야에서의 “소비자 교육”이란 원래 감정적인 뜻이 아니라, 브랜드 구축·품목 관리·서비스 경험 등을 통해 소비자가 품질 차이와 가치 논리를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실제 백과원측은 회장의 발언이 일파만파로 부정적 여론을 확산시키자, 바로 대응해 “해당 짧은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