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자 명상 - 정(情), 항상 푸른 마음

 

 

참 묘한 게 정(情)이다.

미움이라 알았는데,

마음 깊이 남은 게

사랑이라 알았는데,

열정 끝에 남은 게

 

바로 정(情)이다.

 

마치 판도라의 상자 속

희망처럼

마음의 바닥에

농축되고 응집돼

내 마음의 끝에 남은 게

떠나지 않고 머무는 게

 

바로 정(情)이다.

정(情)이란 게 그렇다.

 

 

그래서

“사랑해”

보다 깊고,

“미워해”

보다 애틋하다.

 

그래서

“사랑해”를

“미워해”와

같은 뜻으로 만들기도 한다.

 

정이란 게 그렇다.

사랑과 미움이 오랜 교차로

농축된 감성이다.

 

푸른 마음이다.

맑은 마음이다.

 

마음, 심(心)이 푸른(靑) 게

바로 정(情)이다.

마음, 심이 맑은 게

바로 정이다.

푸른 마음, 맑은 마음이

바로 정이다.

 

 

복잡한 개념이라

갑골문엔 없고

금문도 금문 대전에서 나온다.

 

푸른 나무를 비추는 우물 옆의 마음이다.

 

마음이 나무와 같이

맑은 우물에 비취는 게 정이다.

 

정은 사랑과 미움,

그 극한 두 감정의 정화요,

그 극한 두 감정을 세월로

농축한 진액이다.

 

그래서

사랑보다 애틋한 게

다정(多情)이요,

미움보다 무서운 게

무정(無情)이다.

 

그래서

사랑의 반대는 미움이 아니라

무정이고

미움의 반대가 사랑이 아니라

다정이다.

 

이별이 그리 슬픈 건

사랑해서

미워해서가 아니다.

정이 많아

다정해서 슬픈 게다.

 

오랜 세월로 농축한

사랑과 미움이

정이 돼 슬픈 것이다.

 

그래서

친구와, 혈육과

생별을 하면,

항상 혀끝을 차며 그리고

사별을 하면,

소리를 삼켜 울게 되는 것이다.

 

“死别已吞声,生别常恻恻”

“사별이탄성, 생별상측측”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