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장이머우 연출 베이징올림픽 개막식에 中네티즌 "최고로 맛깔스럽게 만들었어"

"14년 전 베이징올림픽이 압도적 규모로 전 세계에 ‘대국굴기(大国崛起)’를 과시했다면 이번엔 스타 가수‧배우 등 유명인 대신 일반인, 특히 어린이‧청소년이 주로 무대를 채웠다. 1만1600㎡에 달하는 무대 바닥 전체에 HD LED 스크린을 설치해 희고 푸른 얼음‧눈꽃송이와 중국 천혜의 자연경관, 생활상 이미지를 다채롭게 펼치며 ‘함께하는 미래(Together for a Shared Future)’란 주제를 강조했다."

지난 4일 저녁 진행된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식 소식을 전한 중앙일보 기사의 한 대목이다.

전반적인 평이 화려하고 우장함 대신 소박하면서도 정밀함이 돋보이도록 했다는 평이다. 

한구절을 더 인용하면, "개막식은 전체적으로 예년보다 단순하고 소박해졌단 인상이 강했다. 코로나19로 인해 개막식 공연자가 3000명으로 2008년(1만5000명)의 20% 수준으로 줄고 개막식 시간도 4시간에서 2시간 남짓으로 쪼그라든 것도 이유다.
2018 평창 겨울올림픽 개‧폐막식 총감독을 맡았던 송승환 KBS 개막식 생중계 해설위원은 “기대했던 것처럼 어마어마한 '와우'가 일어나지 않았지만 어쨌든 독특했다”면서 “도쿄올림픽과 비교하면 창의적이고 문화적인 면에서 일본은 늙어가고 있고 중국은 더 젊어지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고 평가했다."

가장 적절한 평이었다 싶다. 주목할 점은 중국 문화가 갈수록 발전하고 있고, 그 발전의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만난 한 예술인은 "중국의 감성은 한자를 쓰면서 길러지는 듯 싶다. 한자의 조형미를 어려서 자연히 익히고 배워 예술감을 키운다 싶다"고 말했다. 공감이 가는 평이다. 

중국 네티즌들 역시 개막식 연출에 대단히 높은 점수를 주는 모습이다. 

 

동계올림픽 개막식은 놀랍고, 감동적이었어!

 

횃불 아이디어가 너무 낭만적이야! 큰길은 지극히 간결하지!

 

마지막 순서 : 작은 불씨가 들판을 태운다~

 

장이머우 감독은 중국인들의 뼈속 낭만을 너무 잘 알아. 최고로 맛깔스럽게 만들었어.

 

이 형님은 올림픽을 하면서, 틈틈이 영화도 찍었어!

 

나는 나의 조국을 사랑하고, 자랑스럽게 여겨!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