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의 5가지 고대 머리 장신구...은은히 머리결 속에 빛나는 보석

고대 중국에서 머리 장신구는 남녀를 불문하고 최고의 보물이었다.

특히 비녀는 아낙네들의 최고의 보물이었다.

긴 머리를 단정하게 정리해주는 비녀는 미녀의 얼굴을 가장 돋보이게 하는 장신구였다. 목걸이나 반지 등과 달리 멀리서도 바로 눈에 띄는 덕에 장신구들 가운데 최고의 위치를 차지했다.

이에 비녀는 고대 상나라 시절 이미 신분의 상징이었다.

금비녀 옥비녀는 귀족들의 전유물이었다.

비녀는 시대를 거치면서 나라마다 당대의 풍속을 보여주는 하나의 거울이기도 하다. 진시황제 이후 한나라 초기까지의 비녀는 단아한 멋을 자랑하고, 당나라 때는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준다. 

비녀는 여성의 애정의 상징이기도 했다.

유럽에서 중세시대 여성의 스카프처럼 동양에서 미녀는 자신의 비녀를 남성에게 건네 애정을 표시하고 했다.

 

1. 파계发笄, 원시비녀

发笄는 머리카락이나 모자에 꽂아 귀뜸을 장식하는 비녀로, 하임도 유적에서 출토된 비녀, 고대 한족의 여자가 열다섯 살 때 성년을 나타내는 비녀, 비녀례에 사용되었던 비녀가 바로 이 비녀 종류이다.

 

2. 잠簪, 비녀의 발전형

簪는 계에서 발전하여 상투나 관을 고정하는 데 사용하던 옛날 남자와 여자 모두 사용하던 머리 장식의 일종으로, 한무제 때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후한서·여복지》에 최초로 기록되어 있으며, 중국 고대 헤어스타일 중 가장 기초적인 고정과 장식도구이다.

 

3. 채钗, 금은동의 비녀

두 개의 비녀를 교차시켜 만든 장신구로 두 개의 금속사가 서로 꼬여 한 가닥을 만들고 장식물 끝 부분에 태슬 펜던트를 달아서 받쳐 주었던 고대 한족 부녀자의 장신구로, 재질에 따라 크게 금비녀, 옥비녀, 보비녀, 치비녀 등으로 나눌 수 있다.

4. 보요步摇, 장식비녀

걸음을 옮기면 흔들리지 않는다고 해서 붙여진 중국 고대 한족 부녀자들의 장신구는 번잡한 화식과 황금을 굴곡시켜 용봉을 이룬 형상으로 주옥(珠玉)을 얹고 차전(钿錢)과 서로 섞어서 머리에 꽂은 금, 은, 옥, 마노를 주원료로 하는 중국 전통 한민족 장신구다.

 

5. 봉관凤冠, 왕관형 비녀

흔히 중국의 옛 황제인 후비나 귀족 부녀자들이 가지고 다니던 관장식을 일컫는 말로, 봉황모양의 보석이 장식되어 있어 붙여진 이름이며, 명나라 때 황후가 조회(朝會)와 수책(受冊), 알묘(庙廟) 때 형제(形製)인 승송제(承宋制)를 쓰고 발전·보완료한 예관(禮冠)을 말한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