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메타버스 개발에 뛰어드는 중국 지방정부들

 

중국 지방 정부들이 잇따라 메타버스 관련 개발 계획을 발표하고 나섰다.

중국은 지방의 메타버스를 지방정부가 자체적으로 적극 개발하고 있다. 네이버 등 기업이 주도하는 우리의 경우와 사뭇 다른 모습이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 안후이(安徽)성 허페이(合肥)가 각각 향후 5년간의 메타버스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고 17일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우한 정부는 메타버스와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블록체인을 실물 경제와 통합하겠다고 밝혔다. 허페이 정부는 메타버스와 같은 첨단 분야에서 여러 선도 기업과 제품을 육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앞서 상하이(上海) 정부는 지난달 30일 발표한 기술산업 5개년 계획에서 메타버스를 지원하는 핵심 기술의 연구·개발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지난해 11월에는 후난(湖南)성이 유명 관광지 장자제(張家界·장가계)를 대상으로 한 메타버스 연구센터를 설립했다. 항저우(杭州) 정부도 학자와 기업 대표들로 구성된 '메타버스 위원회'를 설립했다.

한편 중국 관영매체들은 메타버스를 둘러싼 이상 열기를 투기 행위로 보고 이미 지난해부터 경고에 나서는 모양새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는 지난해 11월 "현재의 메타버스 광풍을 이해하는 데 모두가 이성적일 필요가 있다"고 보도했고, 지난달에는 "메타버스 가상 부동산 거래는 변동성과 사기, 불법 자금 모금, 자금세탁의 위험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