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미중 7개월만에 외교 수장 회담...팔꿈치도 부딪치지 않았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이 3월 알래스카 앵커리지 회담 이후 7개월 만에 만났다."

최근 전해진 소식이다. 그동안 미중 양국은 서로 얼굴도 마주하지 않을 정도로 갈등이 심화했다.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개인적으로 입만 열면 "내 친구 시진핑"이라고 하면서도 중국에 대한 각종 압박을 가중시켰다. 역대 최악의 관세전, 무역전을 벌인 게 바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다.

자연스럽게 중국에서는 "미국은 믿을 수 없다"는 말이 나왔다. 그러면서 양국은 조금씩 외교적 대화 채널을 줄여갔다.

그리고 어느 순간 만난다는 소식이 끊어졌다. 

그러다 이번에 드디어 새롭게 만난 것이다. 갈등이 좀 줄어들었나, 하고 글로벌 경제 전문가들의 귀가 솔깃해지는 소식이었다.

하지만 어찌 단칼에 베이는 외교 갈등이 있을까?

만남 소식 뒤에 이어진 뉴스가 '역시나' 싶다. 

미중 외교 수장은 오랜만에 만나 설전을 벌였다. 지난달 31일(현지 시각)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이탈리아 로마에서 만난 두 사람은 '팔꿈치 인사'도 생략하고, 기념 촬영 때도 한 걸음 이상 떨어져 사진을 찍었다. 이럴 걸 왜 만났나 싶다.

하지만 그래도 외교 전문가들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무엇보다 '만나지 않는다'는 악화일로의 상황에 브레이크가 걸렸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만난다는 사실 자체는 향후 둘 사이가 긍정적인 변화를 보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결국 만남 자체가 외교적으로 중요한 이벤트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관계가 더 나빠지던, 좋아지던 만나면 최소한의 우발적인 무력 충돌은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나면서 무력을 쓰면 정말 뒤통수를 치는 경우가 된다. 어쨌든 미중의 만남은 전 세계인의 관심사 가운데 하나다. 당사국인 중국의 네티즌들은 더 하다. "팔꿈치 인사도 하지 않았다"며 만남 당시의 일거수일투족을 면밀히 살피는 모습이다. 

 

두 사람이 만났을 때, 팔꿈치도 부딪치지 않았어.

 

그들은 50년 전부터 하나의 중국 원칙을 저지하지 못했고, 21세기 오늘날에는 더더욱 불가능해.

 

왕이 외교부장 : 3대 마지노선과 2개의 목록이 뭐라고 합니까??

 

블링컨은 외교예절이 없고, 왕이 외교부장은 손을 내밀어 대국적인 품격을 갖췄어.

 

올 것은 분명히 올 것이니, 만나서 분명히 이야기하고 다음 단계로 가자.

 

??? 블링컨은 악수를 안 한 거야?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