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희토류 채굴 쿼터 전년 대비 20% 늘려

 

희토류는 스칸듐, 세륨, 네오디뮴, 이트륨 등 17개 희소 광물질의 총칭이다. 휴대전화, 전기차 배터리, 스텔스 전투기 등 첨단기기 부품에 필수적인 원료인데 채굴, 정련, 합금화 과정에서 막대한 환경오염이 발생돼 미국, 호주 등 선진국들은 대부분 직접 생산보다 수입을 하고 있다. 현재 중국이 전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중국이 최근 희토류 채굴 허용량을 사상 최대로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올해 희토류 채굴량을 16만8000t, 제련·분리 허용량을 16만2000t으로 결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20% 늘어난 규모다.

중국이 희토류 생산을 늘린 것은 코로나19 팬데믹이 원인으로 꼽힌다. 미얀마 등 다른 희토류 생산국들이 수출을 줄이자 중국이 자국내 생산량을 늘려 글로벌 수급을 맞추고 나선 것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미얀마는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해 국경 교역을 통제하면서 중(重)희토류 수출을 중단했다. 

중국 당국의 이번 희토류 쿼터 증가분은 북방희토, 광둥희토 등 6개 국유기업이 할당받았다. 중국은 국유기업 개혁과 생산 효율화를 위해 6개 기업 간 합병을 추진 중이다.

한편 중국은 지난 2010년  일본과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유권 분쟁 시기에 희토류 수출을 제한해 일본 기업들에 큰 타격을 입히기도 했다. 최근 미중 무역 갈등 국면에서도 중국이 희토류를 전략 무기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생산량 확대를 결정한 바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