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中 전력 부족으로 산업시설 중단 사태

 

중국의 전력난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중국의 전력난은 공장 가동에 영향을 준다. 중국은 아직도 세계 주요 공장 가운데 하나다. 중국 공장이 멈추면 세계 공산품 물가가 수직 상승을 하게 된다.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것이다.

여기에 코로나 19로 인한 투자 위축 위험까지 맞물리면 세계 경제는 더불딥에 빠지고 소위 공황, '스테크플레이션'의 발생 가능성마저 커지는 것이다. 

27일 경제관찰보,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최근 광둥성, 저장성, 장쑤성 등 중국 경제의 3분의 1을 차지하는 3개 성(省)에서 산업용 전력 제한 공급으로 인해 공장 가동이 멈추거나 조업시간이 크게 줄었다.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 등 10여개 성에서는 산업용 전기는 물론 가정용 전기까지 갑자기 공급이 끊어지는 일까지 발생하고 있다.

중국 최대 경제 도시 상하이도 예외가 아니다. 27일 중국국가전력망공사 상하이지사는 오는 10월 3일까지의 지역별 전력 제한 공급 일정을 공지했다.

중국 내 전력난은 제철소, 정련공장, 섬유산업단지 등 전력을 대량으로 소비하는 업종의 전면 가동 중단 사태를 낳고 있다. 장쑤성에 진출한 포스코 스테인리스 공장도 현재 가동이 중단된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관찰보는 화력발전용 석탄 수급난과 함께 중국 정부의 에너지 소비 감소 정책이 이번 전력난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은 지난해 무역 분쟁 국면에서 호주산 석탄의 수입을 금지했다. 중국 석탄 수입량의 3분의 1을 차지하던 호주산 석탄은 몽골, 동남아시아, 러시아 석탄으로 대체됐지만 열효율이 떨어져 전력 사정을 악화시켰다는 것이다. 또 중국 지방 정부들이 중앙 정부가 제시한 탄소 배출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해 전력 공급 조절에 나서면서 전력난을 심화시켰다는 분석이다.

미국 블룸버그통신도 "중국의 전력난은 스스로 선택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시진핑 정부는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강력한 탄소 배출 억제 정책을 추진하면서 경제 성장 둔화까지 감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