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윈난성 의대, 불황성화 방식 코로나19 백신 개발해 눈길

 

중국 국무원산하 중국과학원이 어제 9일 코로나바이러스 불활성화방식의 새로운 백신을, 중국남서부 윈난성의 질병관리본부로 부터 사용승인을 받았다고, 중국과학원측이 밝혔다.

 

중국 과학원 산하의 윈난성 의과대학 바이오연구소가 개발한 이 백신의 이름은 커웨이푸 ( 科維福)이고, 중국최대 국유제약회사인 시노팜이 지난해 에 세계최초로 개발한 전통적인 백신제조법을 이용해 개발한 불활성화 코로나19 백신과 같은 방식으로 개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학원의 소식을 전한 중궈르빠로등 중국매체들은, 이로써 중국은 불활성화방식의 백신을 5번째로 생산 접종하게 되었으며, 이를 포함해 총 7종의 백신을 확보하게 됐다고 보도했다.

 

중궈르빠오등은, 중국과학원산하 의과대학 바이오연구소는 이번에 윈난성 질별관리본부로부터 승인받은 불활성화 방식의 백신을 연간 최대 10억 도스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도 이미 완공했다면서, 향후 국내는 물론 세계 각국의 구매요청에도 탄력적으로 응할 수 있게 됐다고 보도했다.

 

 

중국 과학원에 따르면 윈난성의 성도인 큰밍시에 위치한 바이오 하이테크단지에 지난해 10월 16억 위안 ( 한화 환산 약 2천 8백억원 ) 을 투입해, 코로나10등 각종 전염병 바이러스에 관한 연구와 백신개발 생산기지를 착공해 올해 초에 완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과학원은 그동안 생산한 새 백신으로 1상과 1상의 임상실험을 통해 안전성과 면역체 생성률을 확인했고, 접종후 14일 이내에 면역 항체의 합성률이 96%에 달하고, 항 바이러스 S형 단백체가 99. 33% 이상 지속되는 연구결과를 관계기관으로 부터 승인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9일 윈난(雲南)성 질병통제센터는 첫 번째 코비포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공급받았다.사진출처: 의과대학 바이오소는 현재 이 백신의 산업화 실시를 착착 추진하고 있으며 의과대학 바이오가 위치한 마금포 백신 산업기지에 새로 건설된 코로나19 백신 생산 작업장이 본격 가동 중이다.아울러 이 백신의 에너지 확장 프로젝트도 한창 진행 중이어서 연말께 생산이 완료되면 연간 5억~10억 도스로 늘어나 전 세계 코로나19 저항에 불을 붙일 것으로 보인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