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무역협회, 중국 수면용품 시장 고속성장 전망

 

중국에서 수면장애를 앓고 있는 인구가 약 3억명에 달해 관련 시장의 성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왔다.

28일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가 내놓은 '중국 수면경제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중국의 성인 불면증 발병률은 전년보다 20.3%포인트(p) 오른 38.2%를 기록했다.

이는 세계 평균 불면증 발병률(27.0%)보다 약 10%포인트 높은 수치다.

연령별로는 1990년대생과 2000년대생의 불면증 발병률이 높았다.

주요 수면장애 발병 원인으로는 정서적 요인, 생활 스트레스, 업무 스트레스 등이 꼽혔다.

특히 중국 정보기술(IT) 산업 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알리바바, 징둥, 화웨이, 샤오미 등 대기업이 '996 근무제'를 도입하며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면증을 호소하는 젊은 층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996 근무제는 오전 9시부터 오후 9시까지 일주일에 6일 근무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중국의 수면용품·서비스 관련 시장은 2015∼2019년 연평균 11.2%씩 고속 성장했다. 내년에는 시장 규모가 약 4천572억위안(약 8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면용품 브랜드도 빠르게 늘고 있다.

2017∼2019년 수면용품 브랜드 수는 연평균 32%씩 증가했으며, 전자상거래 플랫폼 내 수면용품 관련 입점 매장 수의 연평균 증가율은 65%를 기록했다.

이런 추세에 맞춰 중국의 온라인 플랫폼 징동은 2015년부터 매년 세계 수면의 날(3월 둘째 주 금요일)에 맞춰 수면용품 판촉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이벤트는 침실 무드등, 스마트 암막커튼 등의 판매액이 전년 대비 각각 130%, 170% 증가하며 높은 호응을 얻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