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국 샤오미, '블랙리스트 지정 반발' 미국정부 상대 소송

중국 전자제품 제조업체인 샤오미(小米)가 미국 정부의 블랙리스트 지정에 반발해 미국 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샤오미는 2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의 지방법원에 미국 국방부와 재무부 등을 상대로 제재 결정을 뒤집어 달라고 요청하는 소송을 제기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이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임기 막바지였던 지난 14일 미국 국방부는 중국군과의 연관성을 이유로 샤오미 등 중국기업 9곳을 블랙리스트에 올렸고, 미국 투자자들에게는 오는 11월 11일까지 샤오미 보유 지분을 처분하도록 한 바 있다.

샤오미는 소장에서 해당 제재가 "불법이자 위헌"이라면서, 자사가 중국군의 통제를 받지도 않는다고 주장했다.

공동창업자인 린빈(林斌)과 레이쥔(雷軍)이 샤오미 의결권의 75%를 갖고 있다며, 중국군과 관련된 어떠한 개인이나 집단의 통제도 받지 않고 그들이 소유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샤오미의 주주 상당수는 미국인으로, 샤오미 보통주를 가장 많이 보유한 10곳 중 3곳이 미국 기관투자그룹이라고 밝혔다.

 

샤오미는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과 재닛 옐런 재무장관도 소송 대상에 포함했는데, 미국 국방부와 재무부는 이번 소송과 관련해 즉각적인 반응을 내놓지 않았다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