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옛부터 책은 수면제?



 

옛날 중국에 한 보모가 아기를 안아 재우려 했다.

 

아이에게 젖을 잔뜩 물린 뒤

아이가 잠들기만 기다렸다.

 

그런데 웬걸

이 아기는 갈수록 울기만 했다.

 

보모가 어르고 달랬지만,

아기는 도무지

잠들 기미가 보이지 않았다.

 

"이걸 어쩌지"

한참을 생각하던 보모가 좋은 생각이 떠올랐다는 듯

웃더니

아이를 안고 서당으로 달려갔다.

 

"선생님, 선생님"

보모가 우는 아이를 안고 서당 선생을 불렀다.

"왜 그러시오?"

서당 선생이 물었다.

"선생님, 책 좀 주세요. 책이오!"

우는 아이를 쳐다본 선생이

무슨 의미인지 모르겠다는 듯 물었다.

 

"아니 우는 아이나 달래지 책은 왜 필요하오?"

그러자 보모가 답했다.

"아이에게 보여주려고요.

제가 보니까,

전에 서당에서 아이들이 책만 펴면 졸더라고요!@"



옛날이나 지금이나

아이들은 다르지 않았다.



 

황혜선 기자 hhs@kochina21.com


사회

더보기
중국, 청년 취업난 해결책으로 '新하방' 캠페인 강화
중국 당국이 대졸자 등 청년들의 농촌행을 독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오쩌둥 시대의 청년 실업과 흉년에 따른 농촌 경제 붕괴를 막기 위해 지식인과 청년층을 대거 농촌으로 내려보냈던 '하방(下放) 운동'을 연상케하는 조치다. 중국의 대졸자 실업은 최근 20%를 넘어선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중국은 국민들의 일자리를 보장하는 사회주의 국가다. 마오쩌둥 시대만 해도 정부가 교육 수준에 맞춰 모든 국민의 일자리를 정해줬다. 시장주의를 받아들이는 개혁개방 정책을 펼치면서 이 같은 의무는 경제발전을 통한 자연스런 일자리 제공으로 방식을 바꿨지만, 근본적인 취지는 같다. 청년, 특히 대졸자 실업 증가는 정부의 정책 실패며, 이에 대한 책임론이 부각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중국 당국이 가장 두려워하는 결과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중국의 청년 실업률이 5년만에 20%를 넘어선 가운데 중국 당국이 젊은이들의 귀향과 농촌 구직활동을 독려하는 신(新)하방 캠페인을 강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광둥성은 2025년 말까지 대졸자 30만명을 농촌으로 보낼 계획을 세웠다. 지난 2월 발표된 광둥성의 해당 계획에 따르면 대졸자들은 농촌에서 풀뿌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