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2020 중국 외식업계 인기 순위 NO.5

중국여행필수, 현대중국의 진면목을 알려면 이런 브랜드 식당에 가시라.

주인장과 주방장의 재료맛 손맛 칼맛이 좌우하던  시대는 갔다.

 

이제는 건강함과 세련됨과 효율성을 갖춘 대형 프랜차이즈 시대다.

 

중국의 외식습관 외식문화는,  한국보다 훨씬 일찍 광범위하게 발달했었다.

 

표준화와 프랜차이즈 사업툴이 등장하자마자 확산세가 엄청나다.

 

14억 중국인들l의 입에 가장 많이 오르내리는 외식브랜드 5개를 살펴보겠다. (중국 chinapp 사이트 참고)

 

중국여행중 아래 모양의 간판을 단 집에 들어가 식사를 하고 다른 테이블의 중국인들을 관찰하게 되면, 2020년 현재 중국 중산층 삶의 분위기를 정확하고 충분하게 접할 수 있을 것이다. 

 

1위 : 하이디라오 (海底捞)

 

 

1994년 쓰촨성에서 시작된 훠궈 전문점. 핫팟에서 신선한 육류와 채소를 익혀, 바다에서 건져먹는것같은 건강함을 상징으로 친절하고 깨끗하고 건강하고 가격대비 만족도가 높다는 이미지를 만들고 지키면서 부동의 1위를 뺏기지 않은지 오래다.

 

2위 : The grandma’s (外婆家)

 

현대중국인들의 고급외식의 대표 브랜드 음식점.

 

양식과 중식 가릴 것없이 모두, 고급스럽고 상당한 가격의 메뉴들과 함께 전문적인 서비스가 제공되는 중 상류 소비층을 타킷으로 한 고급 외식 브랜드. 가족 연인 사업 등 중국 상위 20%의 사람들이 즐겨찾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식당 이름이 영문으로 GRANDMA  영어의 할머니 GRAND MOTHER의 음가를 비틀어 쓴 것인데, 영어로는 그냥 친할머니 외할머니 구분이 없은 말이다.

 

그런데 이 식당의 원 중국어 브랜드는 외할머니 라는 뜻을 가진  와이포지아 (外婆家 [wàipójiā])이다.  중국사람들 가슴속에는 (혹은 도) 친 할머니 보다는, 엄마의 엄마인 외 할머니가 좀 더 친근하고 자상하다고 생각하는 무의식이 자리 잡고 있는 것 같다.

 

3위 : 서패유면촌 (西贝莜面村)

 

중국 서북지방 요리 전문점으로, 귀리 가루로 만든 유면 (莜面) 주 메뉴이고, 양고기 요리 또한 현대식으로 표준화해서 제공한다. 서쪽의 산시성 닝시아자치구 간쑤성등은 비가 많지 않고 토양도 척박해 변변한 음식이 발달하지 않았다.

 

그런데 어느 덧 중국인의 생활수준이 높아져 비만을 걱정하게 되자, 이 브랜드는 하루아침에 건강식의 대명사로 각인돼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맛과 건강을 동시에 잡았다 뭐 이런 느낌이다.

 

중국어로 귀리를 뜻하는 莜의 영문식 발음표기가  you 로 표시되는데, 이를 활용해  I♥Y로고로 만든 것도 기발하다.

 

게다가 중국특색인 홍색을 테마로 한, 상큼하고 매우 세련된 인테리어 디자인컨셉도 주요한 성공요인으로 꼽힌다.

 

4위 : 씨차(喜茶·HEYTEA)

 

씨차(喜茶·HEYTEA)는 주로 중국 전통 차음료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는 프랜차이즈 카페이다.  처음 등장했을 때 이 로고의 모양이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 브랜드 네이밍도 찬사를 받았다. 중국어로 좋아한다는 喜欢  [xǐ‧huan] 의 앞글자 xi 에 다가  cha를 붙여 중국어 이름을 짓고, 영어로는 hello를 연상케하는 HEYTEA로 작명했다.

 

5위 : 메이조우동포(眉州东坡)

 

앞의 메이조우는 중국서부 쓰촨성의 성도 청두인근의 작은 도시의 이름이다.

 

브랜드 창업주의 고향이기도 하다.

 

중국 사천 지역의 요리 전문점으로, 매콤한 음식이 특징이며 , 두말할 것없이 맛과 수준이 보장되는 중국전통음식의 대표 외식 식당이다.

 

전국에 무려135개의 지점이 있는데, 베이징에 가장많고 주로 상하이 우한 청두 등 몇몇의 대도시에 집중돼 있다.

 

다음 지면에서는, 14억 중국인들이 탑으로 꼽은 위 5대 외식식당에 대해, 각 브랜드별로 탄생과 비결등에 얽힌 유익한 정보를 시리즈로 연재할 것이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