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독일 출산율 70년대 수준 회복

이민자 받아들여…미출산자 비율 높아져

이민자를 적극받아들이면서 독일이 출산율을 1970년대 수준으로 회복했다. 그러나 노령 출산과 아이를 낳지 않는 미출산율도 늘면서 독일 정부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사회복지가 좋은데도 불구하고 독일은 여전히 저출산 국가이다. 최근 몇 년 간 독일이 이민자를 많이 받아 출산율이 조금씩 올라오고 있다. 현재 출산율이 1970년대 수준으로 회복됐다.

 

최근 독일 연방통계국은 출산율 관련 통계를 발표했다. 2018년 독일은 79만명의 신생아를 기록했다. 이 중 36만6000명의 아기 엄마가 처음으로 출산했다. 이들의 첫 출산 당시 평균 연령은 30대였지만 2017년에는 29.4세였다.

 

추가 통계를 보면 장년 독일의 전체 첫 출산 여성 중 48%가 30~39세였다. 여성 중 3% 즉 약 1만1000명의 여성이 첫 아이를 낳았을 때 40세가 넘었다. 구역별로 나누면 독일의 직할시와 비교적 발달된 연방주에서 여성의 첫 출산 연령이 현저히 더 늦어진다. 1위인 함부르크로는 평균 첫 출산 연령은 31세, 베를린은 30.5세, 바이에른과 바덴뷔르템베르크는 30.2세, 헤센은 29.9세였다.

 

이 수치들은 출산에 대한 독일 사회의 태도가 50년 동안 얼마나 변했는지를 보여준다. 1970년대만 해도 독일 서부 여성은 24세 전후에 첫 아이를 가졌지만 당시 독일 동부 지역에서는 22세까지 첫 아이를 가졌다.

 

'최종 미출산율'이라는 또 다른 중요한 통계는 45세에서 49세 사이에 출산한 적이 없는 여성의 비율이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0년간 17%에서 21%로 늘었다. 최종 미출산율에서도 동서부 지역에서 여성의 무자녀비율은 동부 지역이 서부 지역보다 현저히 낮다. 그러나 통계에 따르면 10년 사이 동부 지역의 최종 미출산율은 두 배가 올라 평균 7%에서 15%로 높아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