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국, 에너지 건전성 평가 세계 37위…OECD ‘최하위권’

형평성 ‘A등급’, 안보•지속가능성 ‘B•C등급’

한국이 올해 '에너지 건전성' 평가에서 세계 37위를 기록하며, OECD 최하위권에 랭크된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국민의 보편적인 에너지 접근성은 세계 최고 수준이지만, 에너지 안보와 지속가능성 평가에서는 정책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11일 에너지경제연구원 등은 "세계에너지총회(WEC)가 최근 발표한 국가별 '에너지 트릴레마 지수(Energy Trilemma Index)'에 따르면 한국은 71.7점(만점 100점)을 받으며, 조사 대상 128개국 가운데 37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

 

이는 작년대비 2계단 하락한 것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가운데서는 31위다. 올해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OECD 국가는 5개국 뿐으,로 터키(66위)와 폴란드(53위), 칠레(48위), 그리스(47위), 멕시코(40위)이다.

 

'에너지 트릴레마 지수'는 WEC가 매년 세계 각국의 에너지 시스템의 건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작성하는 지표를 말한다.

점수 책정 방식은 에너지 수요의 안정적인 충족, 공급 혼란 최소화 등 '에너지 안보'(30%)와 적정한 가격·공정한 책정에 따른 보편적 접근성을 의미하는 '에너지 형평성'(30%), 환경 피해·기후변화 회피 노력을 평가하는 '에너지 지속가능성'(30%), '국가 고유 특성'(10%) 등을 합산한 결과다.

 

한국은 올해 평가에서 형평성은 97점으로 A등급(16위)을 받았으나, 안보와 지속가능성은 각각 58점(B등급,69위)과 59점(C등급,80위)으로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한국이 지난 2000년 이후 3개 평가 항목에서 모두 개선되고 있다면서 특히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관리되면서 지속가능성 지수가 비교적 크게 올랐다”고 설명했다.

또한 보고서는 "한국은 에너지 안보와 환경 지속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재생에너지 비율 제고, 미국 셰일가스 등 천연가스 이용 확대 등의 중요한 정책적 조치를 실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올해 1위는 스위스가 85.8점을 받으며 차지했으며, 스웨덴(85.2점)과 덴마크(84.7점), 영국(81.5점), 핀란드(81.1점), 프랑스(80.8점), 오스트리아(80.7점), 룩셈부르크(80.4점), 독일(79.4점) 등 대체적으로 유럽 국가가 최상위권이었다. 이 가운데 뉴질랜드(79.4점)가 10위로, 비(非)유럽 국가 가운데 유일하게 '톱10'을 기록했다.

 

한편 미국은 77.5점으로 15위에 올랐고, 아시아 국가 가운데서는 일본이 31위(73.8점)로 가장 높은 순위였다. 홍콩은 34위(72.5점)였으며 중국은 72위(63.7점)를 받았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한국은 올해 평가에서 에너지 형평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안보와 지속가능성은 개선이 진행 중인 국가로 평가되면서 '트릴레마 삼각형'에서 비균형적인 형태를 보였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