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중견 제조업체 수익성 '하락'…대기업 '상승'

비제조업은 중견기업 수익성 지표가 더 높아

국내 중견 제조업체의 수익성이 최근 몇 년 새 크게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견기업법은 중소기업법이 규정하는 중소기업과 공정거래법이 규정하는 대기업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허리'에 해당하는 기업군을 중견기업으로 지정한다. 이 가운데 외국인투자기업, 공기업 등은 중견기업에 해당하지 않는다.

 

11일 한국은행은  '2018년 중견기업 기업경영분석'(시범편제)을 발표하고, 국내 중견 제조기업의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이 2016년 6.7%에서 2017년 5.5%, 2018년 3.8%로 2년 연속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다른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영업이익률도 2016년 5.5%에서 2018년 4.3%로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제조 대기업의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7.2%에서 7.3%로,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7%에서 8.9%로 각각 상승했다.

 

한편 비제조업에선 중견기업의 수익성 지표가 대기업보다 높았다.

중견 비제조기업의 매출액세전순수익률은 2016년 5.6%에서 2018년 5.7%로 개선됐고, 같은 기간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2%에서 6.1%로 소폭 하락하는 데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비제조 대기업의 매출액세전순이익률은 4.6%에서 4.2%로, 매출액영업이익률은 6.4%에서 5.3%로 각각 떨어졌다.

 

한은 관계자는 "수익성 지표가 좋은 주요 게임업체들이 중견 비제조기업으로 분류된 영향"이라고 밝혔다.

 

제조업과 비제조업을 합한 전체 중견기업의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지표는 대체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중간 정도였다.

중견기업 기업경영분석 통계는 올해 처음 시범적으로 작성된 것으로, 중견기업 4천157개 업체의 재무 자료를 기반으로 집계됐다.

 

한은 관계자는 "내년 중 통계청 변경승인을 거쳐 중견기업 기업경영분석을 국가통계로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