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인당 국민소득, 4년만에 줄어들 것으로 보여

저성장•저물가에 원화 약세 나타나

올해 미국 달러화 기준 1인당 국민소득이 4년 만에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저성장과 저물가에 원화 약세가 나타난 탓이다.

 

6일 금융권은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3만2천달러 안팎으로 작년(3만3천400달러)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1인당 국민소득이란 국민소득을 총국민 수로 나눈 값을 말하며, 해당 국가의 소득 수준을 보여주는 가장 대표적인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올해 1∼3분기 국민총소득(1천441조4천400억원)은 작년 동기간과 비교했을 때 1.56% 늘었다. 4분기에도 국민총소득이 같은 속도를 유지한다면,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약 3만2천달러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간 국민총소득 추정치를 통계청 중위 추계 상 인구(5천179만9천명)로 나누고, 1월부터 지난 5일까지 평균 원/달러 환율(달러당 1,165.06원)을 반영해 계산한 수치다.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는 지난해 평균(달러당 1,100.3원)대비 5.9% 감소폭을 보였다.

 

달러 기준 1인당 국민소득이 줄어드는 것은 2015년 이후 4년만에 처음이다.

 

한은 관계자는 "GDP 디플레이터가 마이너스고 원/달러 환율이 작년보다 높아 올해 1인당 국민소득은 작년보다 줄어들게 된다"며 "다만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 이상은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지난 2017년 1인당 국민소득이 3만1천700달러를 기록하며, 인구가 5천만명 이상이면서 국민소득이 3만달러를 넘긴 국가를 뜻하는 '3050클럽'이 됐다.

앞서 한국은행은 우리 경제가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계속 성장한다면, 10년 안에 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를 달성할 수 있다고 전망한 바 있다.

 

한편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1인당 국민소득 3만달러를 달성한 이후 4만달러에 미국은 8년, 독일은 11년이 소요됐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