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한전 고객센터 내달부터 ‘자회사’ 형태로"

근로자 대부분 정규직 전환 예정

한국전력의 고객센터가 다음달부터 자회사 형태로 바뀌고, 현재 비정규직 용역 형태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 대부분이 정규직으로 전환될 계획이다.

 

5일 한전은 지난달 전국의 고객센터 용역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신설 자회사의 정규직 전환 채용을 위한 신청을 받은 결과, 대상자 924명 가운데 897명이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번 채용은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목표에 따른 것이다. 전환은 60세 이상 고령 근로자와 전환 거부자 등 예외를 제외하고, 원칙적으로 모두 정규직 전환 신청이 가능했다.

 

한전은 지난달 지역본부별로 정규직 전환 신청을 받고, 최근 서울과 대전에서 심층 면접을 진행한 뒤, 이달 초 전환 채용 결과를 통보하고 이의 신청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신설되는 자회사의 명칭은 '한전CSC(Contact Service Communication)'로, 이달 중에 법인 등기를 마친 뒤, 내년 1월 1일 자로 영업이 개시된다. 채용 절차를 모두 통과한 직원들도 내년 1월부터 정규직으로 근무할 계획이다.

 

한전 측은 “이들 직원에 대해 사업비 범위 내에서 급여 수준을 평균 11% 인상하는 등 처우도 개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한전은 기간제 근로자 약 200명을 직접 고용 방식으로 전환했으며, 검침 요원과 청소시설 근로자 등 파견 용역직 약 6천500명을 자회사 설립을 통해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한편 한전은 지난달 28일 이사회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한 고객센터 자회사 설립 및 출자안'을 결정한 바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