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과거 통계 한 번에, ‘통계로 시간여행’ 서비스 시작돼

국내총생산•경상수지•환율•실업률 등 확인 가능

3일 통계청은 '그때 그 시절'을 통계와 '회상 정보'를 한눈에 되돌아볼 수 있는 시각화콘텐츠 '통계로 시간여행'을 개발해, 이날부터 국가통계포털(KOSIS)에서 서비스한다고 발표했다.

이 서비스에 따르면 2000년 짜장면값은 2천900원, 짬뽕값은 3천600원, 냉면 5천600원, 커피 3천원, 휘발유 ℓ당 1천181원이다. 또한 출생아 수는 연간 64만명, 합계출산율 1.48명, 코스피 지수 연평균 734.22, 자동차 등록 대수 1천206만대, 인기 배우는 가을동화 원빈, 물고기자리 이미연, 인기 영화는 반칙왕과 글래디에이터가 차지했다.

 

이처럼 과거 통계를 알고 싶다면 PC나 모바일로 KOSIS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메인화면에서 '통계로 시간여행'을 선택하면 된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에서는 옛것을 새롭게 즐기는 신풍조인 '뉴트로' 트렌드에 맞게 친숙한 통계, 회상 정보를 융합하고, '내 기억 추가하기'를 통해 사용자 본인 이야기를 덧붙일 수 있다.

 

'친숙한 통계'는 이용자가 자주 찾는 경제, 사회, 환경, 그 시절 통계 등 4개 부문에서 총 58개의 통계지표를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국내총생산·경상수지·환율·실업률·출생아 수·인구성장률·기대여명·1년 강수량·평균기온·폭염일 수·석탄생산량·서울 양복 세탁비 등이 그것이다.

 

'회상 정보'는 사람, 그땐 그랬지, 문화, 물가 체험 4개 부문에서 26개 정보로 구성됐다. 특정 연도를 선택하면 그해에 태어난 이, 유명인, 기록사진, 사건, 영화, 드라마 등을 알 수 있고, 짜장면·짬뽕 등 물가 체험 서비스도 체험할 수 있다.

 

'내 기억 추가하기'는 이용자가 가진 사진이나 해당 연도의 추억담을 직접 작성해 페이스북, 카카오톡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재배포할 수 있는 기능이다.

 

통계청 측은 "국가의 소중한 자산인 통계를 국민이 일상에서 더욱 널리 활용할 수 있도록, 국민디자인단 의견을 수렴해 함께 서비스를 개발했다"고 말했다.

 

강신욱 통계청장은 "통계 데이터를 활용한 이번 서비스를 통해, 국가 통계가 딱딱한 이미지에서 국민의 일상 속으로 친숙하게 다가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