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11월 소비자물가, 4개월만에 ‘상승 전환’

동기간 대비 0.2% 상승해

11월 소비자물가가 4개월 만에 상승 전환됐다.

 

2일 통계청은 소비자물가 동향을 통해 올해 11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4.87(2015년=100)로 작년동기간 대비 0.2% 올랐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7월 이후 소비자물가가 4개월만에 상승 전환된 것이다.

 

소비자물가는 8월(0.0%) 보합에 이어, 9월(-0.4%)에 사상 첫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10월(0.0%)에 다시 미미한 수치를 보였다.

또한 소비자물가는 196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최장 기록으로, 지난 1월(0.8%)부터 11개월 연속 1%를 밑돌았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근원물가지수는 물가 변동을 초래하는 여러 요인 가운데, 일시적인 공급 충격의 영향을 제외한 기초적인 물가 상승률을 말한다. 이는 지난해보다 0.6% 상승하는 데 머무르며, 20년 만에 최저인 지난 9월(0.6%)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 또한 1년 전보다 0.5% 상승하는 데 그쳤다. 역시 9월과 비슷한 수준이며, 이전 최저 기록은 1999년 12월 0.1%였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작년 대비 5.3% 감소하며 5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전체 460개 품목 가운데, 자주 구매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0.2% 상승세를 보였다.

 

또한 소비자물가에 소유주택을 사용하면서 드는 서비스 비용을 추가한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작년보다 0.1% 올랐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작년 동월보다 2.7% 하락했다.

구체적으로 감자(-38.3%)가 2005년 4월(-45.2%) 이후 가장 많이 감소했으며, 마늘(-23.6%) 역시 2014년 5월(-25.5%) 이후 5년 6개월 만에 가장 큰 하락세를 기록했다.

 

공업제품은 지난해 동기간 대비 0.2% 하락했고, 전기·수도·가스는 1.5% 올랐다. 서비스 물가는 0.7% 상승했으며, 특히 외식 등을 포함한 개인서비스 가격이 1.6% 상승폭을 그렸다.

통계청은 “지난해 높은 물가 상승률에 따른 기저효과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두원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지난해 기록적인 폭염으로 11월 농산물 가격이 14.8% 급등한 반면에 올해는 5.8% 하락했다"면서도 "(앞으로) 마이너스 물가만큼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사회

더보기
고장난 주차타워...도심 주차난의 주범으로 등장 눈길
‘고장난 주차타워, 이걸 어째?’ 중국에서 한 때 인기를 끌었던 주차타워가 최근 도심 주차난 해소는커녕 오히려 주차난을 가중시키고 있어 논란이다. 타워가 오래되면서 기계 고장으로 멈춰섰거나, 자동차 크기가 변하면서 주차장이 작동을 해도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차량이 크게 줄어든 탓이다.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각 도시에서 기계식 입체 주차타워는 공간을 절약하고 도시 내 주차공간을 보완하는 데 일정 역할을 했지만, 일부 장비는 실제 사용에서 제대로 활용되지도, 철거되지도 못해 차량을 세울 수 없는 ‘좀비 주차장’으로 전락했다. 기계식 주차타워는 본래 한정된 토지 위에서 최대한 많은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등장했다. 그러나 보도에서 지적했듯이, 현실에서는 다수의 기계식 주차타워가 ‘좀비 주차장’이 되었고, 많은 운전자들이 통로에라도 주차하려 하지, 기계식 주차타워에 주차하려 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졌다. 이는 분명 자원의 큰 낭비다. 기계식 주차공간은 대개 내연기관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됐지만, 현재의 신에너지차량들은 대체로 크고 무거워 차량 소유자들이 ‘주차공간’만 바라보며 한숨짓는 상황이 벌어졌다. 물론 많은 내연기관 차량 소유자들 또한 기계식 주차공간을 피할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