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너희 모두 중국인” 한마디에 몸에 기름 붓고 불 질러

홍콩 시위 비판에 참변…네티즌 “폭도 빨리 잡아라” 분노

홍콩 시위가 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너희 모두 중국인”이라는 말 한마디를 한 시민에게 시위대가 기름을 붓고 불을 질러 충격을 주고 있다. 화상을 입은 50대 남성은 생명이 위독한 상태다.

 

지난 11일에 홍콩에 한 거리에서 이모(57)씨가 시위대에 “너희 모두 중국인”이라고 한마디했다. 이에 격분한 시위대는 이씨에게 기름을 붓고 불을 붙였다. 이런 상황은 동영상에 기록됐고, 인터넷에서 업로드되면서 웨이보 핫이슈에 올라갔다.

 

이씨는 50%의 피부에 화상을 입고 입원, 손과 가슴, 복부 등에 피부이식 수술을 받았다. 이씨 부인은 언론과 인터뷰에서 “남편은 의식불명중이며, 생명에 위험이 있다. 동영상 보고 딸과 말도 못할 정도로 마음이 아팠다. 남편과 얘기를 하는데 들을 수 있는지 모르겠다. 그냥 힘내라고…, 버티라고…”라고 말했다.

 

네티즌 사이에서 비판이 고조되고 있다. 한 네티즌은 “보통 사람은 보기만 해도 아픈데, 가족으로서 얼마나 마음이 아플까, 악을 행하는 폭도들은 빨리 잡혀라”라고 하였고, 또 한 네티즌은 “이 아저씨께 기부금의 통로를 개설해 주셨으면 합니다”라는 댓글을 달았다.

 

<웨이보 댓글>:

 

보통 사람은 보기만 해도 아픈데, 가족으로서 얼마나 마음이 아플까, 악을 행하는 폭도들은 빨리 잡혀라

 

이 아저씨께 기부금의 통로를 개설해 주셨으면 합니다

 

이 아저씨이 위험에서 벗어나 안도할 수 있기를 바란다

 

정말 절망적이야. 지금의 홍콩은 정말 황당해! 평민의 부상은 참을 수밖에 없고, 폭도들은 부수고 몇 백 위안 내면 보석할 수 있으니, 하루빨리 범인을 잡아서 법에 따라 엄벌하기를 바란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