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선전서 ‘홍콩 학교’ 인기 하락

‘반송법’ 시위로 학생 안전문제 대두

선전(深圳)은 중국의 실리콘밸리다. 알리바바와 텐센트 등 중국의 대표적인 기업 본사가 몰려 있고, 중국의 경제특구답게 마천루들이 도시를 뒤덮고 있다.

 

이런 첨단도시지만 아쉬운 것이 학교다. 홍콩과 비교해 초중고등학교의 질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교육열 높은 선전의 학부모들은 아이들을 홍콩 학교에 입학시켰다. 하루 서너시간 걸리는 거리지만 3만명의 선전 학생들이 홍콩 학교에 다닌다.

 

하지만 ‘반송법’ 시위가 5개월째 지속되면서 선전 학부모들이 홍콩을 외면하기 시작했다. 아이들의 안전문제가 대두됐기 때문이다.

 

심천의 학부모들 사이에서 홍콩 학교는 더 이상 인기가 없다. 선전 일부 학부모들에게 홍콩 교육의 매력은 사라지고 있다. 계속되는 시위가 자녀를 홍콩에서 선전으로 돌려보낸 이유 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최근 두달 사이에 입시 상담자들 사이에서 선전 학교에 자녀 입학 계획을 있는 학부모들이 2배 정도 늘었다. 여러 원인이 있지만 모두 학생들의 안전성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올해 6월 홍콩 시위가 처음 시작됐을 때보다 전학 문제에 대한 학부모들의 논의가 더 절실해졌다. 한 학부모는 8년 전 선전에서 홍콩으로 이주했고 그의 가족은 현재 두 아이가 홍콩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다니고 있다. 그는 “홍콩에서 자란 아이가 중국인으로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부모와 다른 가치관과 정체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걱정”이라고 말했다.

몇년 동안 수천 명의 학생들이 매일 선전에서 홍콩으로 건너가 학교를 다녔다. 선전 세관은 현재 선전에서 홍콩의 유치원, 초중등학교까지 하루 서너 시간 걸리는 학생 수가 3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선전에서 국제학교가 보편화되면서 선전의 교육도 발전하고 있다. 선전은 하이테크의 도시라는 명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양질의 교육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선전의 국제학교들은 이 기회를 이용해 자녀의 통학이 길거나 홍콩의 지속적인 불안에 대해 불평하는 학부모들을 더 많이 끌어들이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