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8월 사회소비재 소매판매액 전년比 7.5% 증가

온라인 소매판매액 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

중국 국가통계국은 2019년 8월 중국의 사회소비재 소매판매 총액이 3조3896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해 증가 속도가 0.1%포인트 하락했다고 16일 발표했다.

증가 속도는 줄었지만, 중국의 소비시장은 갈수록 성장, 거대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은 사드 사태이후 중국 소비시장의 접근권 자체를 박탈당하고 있다. 중국은 입으로는 자유무역을 외치면서도 실제 행동으로는 철저히 시장보호주의와 시장의 외교무기화를 시행하고 있다.

중국의 이런 태도에 적극 대응하던지, 중국의 말에 무조건 순종하던지, 현재 우리 정부가 하듯 방치해서는 외교적 교류는 물론, 경제적 교류까지 그저 손실만 감당할 수 밖에 없다.

지금처럼 중국 소비시장의 성장을 그저 눈뜨고보기만 해야 하는 처지가 되는 것이다.

중국은 전체 소비시장에서 자동차를 제외한 소비재 소매판매는 9.3% 늘었다. 경영단위별로는 도시의 소비재 소매가 2조9134억위안(1위안약 0.14달러)으로 7.2% 증가했고, 시골 소비재 소매가 4762억위안으로 8.9% 증가했다.

 

소비 유형별로는 외식수입이 3857억 위안으로 9.7% 증가했고, 상품 소매 판매는 3조39억위안으로 7.2% 증가했다.

 

소비 업그레이드 증가 속도가 빨라지다. 한도 이상 단위인 문화사무용품류와 화장품류는 각각 19.8%, 12.8% 증가해 증가 속도가 전년 대비 각각 5.3%포인트, 3.6%포인트 빨라졌다.

 

1월부터 8월까지의 사회 소비재 소매 판매 총액은 26조2179억위안으로 8.2% 증가했으며, 증가 속도는 1월부터 7월까지에 비해 0.1퍼센트 하락했다.

 

1월부터 8월까지 중국 전역의 온라인 소매 판매액은 6조4393억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8% 증가했으며, 증가 속도는 1월부터 7월까지와 같았다. 이 중 실물상품은 온라인 소매가 5조745억위안으로 20.8% 증가했으며, 사회소비재 소매가 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4%로 전년대비 2.1포인트 높아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