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가수 데니스 호, 유엔 연설서 '중국, 회원국에서 퇴출해야'

홍콩 가수 데니스 호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중국에 대한 압력을 강화할 것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8일 스위스 제네바 유엔 빌딩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한 데니스 호는 홍콩의 인권 상황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며 중국을 회원국에서 퇴출해야 한다고 연설했다.

 

데니스 호는 2분간 연설을 통해 홍콩 정부가 중국 본토로 범죄자 송환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을 이야기하며, 홍콩의 민주주의와 인권이 어려움에 처해있다고 토로했다.  또한 데니스 호는 중국의 ‘일국양제’ 약속에 대해 홍콩인들이 분노하고 있음을 전했다.

 

덧붙여 그는 중국의 금서를 판 출판업자들이 실종된 사건, 홍콩 활동가가 투옥된 사건 등을 언급하며 중국의 통제는 홍콩의 자치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중국이 홍콩의 민주주의를 막으려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중국 외교관 다이데마오는 데니스 호의 연설을 두 차례에 걸쳐 방해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이마데오는 데니스 호가 ‘하나의 중국’ 정책을 모욕했다며 호의 발언을 제지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보도했다.

 

이어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9일 정례 브리핑에서 데니스 호의 연설을 언급하며 “하나의 중국 원칙에 도전했음은 물론 홍콩을 ‘국가’로 표현해 유엔 헌장과 인권이사회 규정을 위반했다”며 “국중 내정과 주권을 간섭해 중국을 비방한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말했다.

 

한편, 데니스 호는 홍콩 민주개혁 요구와 자유축소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에 동참하는 운동가로 활약한 바 있다. 그는 2001년 EP 앨범 'first'를 발표하며 데뷔해 홍콩의 가수 겸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