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홍콩 가수 데니스 호, 유엔 연설서 '중국, 회원국에서 퇴출해야'

홍콩 가수 데니스 호가 유엔 인권이사회에서 중국에 대한 압력을 강화할 것을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8일 스위스 제네바 유엔 빌딩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한 데니스 호는 홍콩의 인권 상황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며 중국을 회원국에서 퇴출해야 한다고 연설했다.

 

데니스 호는 2분간 연설을 통해 홍콩 정부가 중국 본토로 범죄자 송환 법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을 이야기하며, 홍콩의 민주주의와 인권이 어려움에 처해있다고 토로했다.  또한 데니스 호는 중국의 ‘일국양제’ 약속에 대해 홍콩인들이 분노하고 있음을 전했다.

 

덧붙여 그는 중국의 금서를 판 출판업자들이 실종된 사건, 홍콩 활동가가 투옥된 사건 등을 언급하며 중국의 통제는 홍콩의 자치를 위협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중국이 홍콩의 민주주의를 막으려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중국 외교관 다이데마오는 데니스 호의 연설을 두 차례에 걸쳐 방해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이마데오는 데니스 호가 ‘하나의 중국’ 정책을 모욕했다며 호의 발언을 제지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보도했다.

 

이어 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9일 정례 브리핑에서 데니스 호의 연설을 언급하며 “하나의 중국 원칙에 도전했음은 물론 홍콩을 ‘국가’로 표현해 유엔 헌장과 인권이사회 규정을 위반했다”며 “국중 내정과 주권을 간섭해 중국을 비방한 것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고 말했다.

 

한편, 데니스 호는 홍콩 민주개혁 요구와 자유축소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에 동참하는 운동가로 활약한 바 있다. 그는 2001년 EP 앨범 'first'를 발표하며 데뷔해 홍콩의 가수 겸 배우로 활동하고 있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