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옷이 두 벌이나 있는데?

중국 자린고비 부자는 염치가 없는 경우가 많다.
사실 그래야 부자가 되는지 모른다.


옛날 중국의 한 자린고비 부자가 손님을 맞아 차를 마시며 한담을 나눴다.
끼리끼리 논다고 이 손님 역시 구두쇠였다.


하인이 차를 가져 나왔다.
그런데 이 하인, 주인이 옷을 주지 않아 알몸이었다.
기왓장 두 장을 끈으로 묶어
겨우 앞뒤 아랫도리만 가렸다.


중국어로 기와는 와瓦wǎ다.
양사는 편片piàn이다.
가리다는 표현은 遮盖 zhēgài라고 한다.

 


주인이 화를 냈다.
이놈. 손님이 왔는데, 어찌 이리 무례하냐?
보다 부드러운 옷으로 갈아입지 못할까?
도대체 나를 어찌 보겠느냐?
하인이 놀라 나가 옷을 갈아입고 왔다.
그런데 이번엔 커다란 연잎으로 다시 앞뒤 아랫도리만 가린 채였다.


손님이 놀란 듯 말했다.
앞서 말했듯 이 손님도 주변에서 알아주는 구두쇠였다.
어허 이보시오. 주인장. 
집안이 너무 사치스럽구려.
주인이 놀라 물었다.
"아니 사치스럽다니요?"


그러자 손님이 다시 답했다.
"다른 건 몰라도 어디 하인의 옷이 두벌이나 돼 
필요할 때 갈아입는다는 말인가요?
너무 낭비가 심하시구려."


주인이 웃으며 말했다.
아하 오해를 하시는군요.
저놈 하인과는 계약이 그렇습니다.
고용을 할 때, 
하인은 밥은 집에서 해결하고
저는 저놈의 옷만 해결해주기로 했었죠.
그래 두벌을 해준 것입니다.

[출처] 옷이 두 벌이나 있는데?|작성자 해동주말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 즐기기 위한 소비에 주머니를 아낌없이 열고 있다. 중구 매체들은 가오카오 시험이 끝난 직후, 졸업생들은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여행을 떠나거나 부모에게서 ‘보상 선물’로 최신 스마트기기를 받는 모습이 흔해졌다고 전했다. 일부는 여름방학을 활용해 운전면허를 취득하거나 헬스장에서 체계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