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광둥성 인구 1억 1300만 명에 달해...'반면 베이징 인구 성장 하향세'

중국 최고 경제선진 지역인 광둥(廣東)성 상주인구가 1억 1300만 명에 달하고 동부 산둥(山東)성도 1억 명을 넘어섰다.

 

지난 17일 대만 중앙통신은 중신경위(中新經緯) 등 중국 매체를 종합 인용해 14억2000만명에 이르는 중국의 지역별 인구분포를 전했다.

 

매체에 따르면 중국 31개 성-시-자치구 가운데 2018년도 상주인구 자료를 공표한 24곳의 인구 상황은 광둥성과 산둥성에 이어 허난성(河南)이 9600만명, 쓰촨(四川)성 8300만명, 장쑤(江蘇)성 8000만명으로 1~5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주인구 수에서 1위를 차지한 광둥성 경우 자연증가에 더해 외지 유입이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광둥성 통계국 데이터로는 작년 성내 자연증가 인구가 92만7600명, 외부에서 유입한 인구는 84만24만명으로 확인됐다.

 

수도 베이징(北京)은 근래 인구 조정과 분산 정책을 시행한 이후 2018년 말 상주인구의 성장이 하향세를 기록했다.

 

베이징 대학 국민경제연구센터 쑤젠(蘇劍) 주임은 “중국에서 상주인구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경제 요인이라며 특히 취업 기회, 임금 수준, 생활비용이 가장 크다”고 설명했다.

 

쑤젠 주임은 “광둥성과 산둥성의 상주인구가 최상위권에 오른 것은 경제발전과 관련이 있다”며 "경제발달, 노동력 수요 확대, 취업 기회 증대, 고임금 수준 등이 사람들을 끌어당기고 머물게 만든다"고 분석했다.

 

베이징 수도(首都)경제무역대학 도시경제·공공관리학원 장즈신(張智新) 교수도 “상주인구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경제발전 수준, 주택가격과 공공서비스 수준”이며 “이외에 정착 정책도 중대한 작용을 한다”고 이야기를 전했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