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제사회, 중국의 빈곤퇴치 긍정적 평가…”중국 탈빈곤 성과 시사하는 바 커”

 

국제사회, 중국의 빈곤퇴치 성과와 경험 긍정적 평가…”중국 탈빈곤 성과 시사하는 바 커”

 

신화사에 따르면 올해 정부업무보고는 전면적인 샤오캉 사회 건설의 임무를 벤치마킹하고 빈곤퇴치사업을 추진해 탈빈곤 목표를 예정대로 달성해야 한다고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외인사들은 “중국의 탈빈곤 성과는 현저하며 세계에 혜택을 미치고 탈빈곤 경험은 많은 개도국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중국이 빈곤과의 전쟁에서 승리하려는 결심은 전세계 빈곤퇴치사업을 고무시킬 것”이라고 이야기했다.

 

캄보디아 민간사회포럼연맹 프로젝트 기획부 주임이자 책 ‘시진핑 국정운영을 말하다’를 캄보디아어로 번역한 Munyrith씨는 중국의 빈곤퇴치 경험은 캄보디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이야기를 전했다. Munyrith씨는 관광 빈곤지원, 특색 농업 빈곤지원, 문화 빈곤지원 등 중국의 탈빈곤을 위한 맞춤형 지원 모델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유럽연구국제센터의 중국문제 선임 연구원은 중국 정부업무보고가 민생에 포커스를 맞춘 것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행하는 빈곤퇴치사업이 농촌 발전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빈곤지원과 자연자원 보호, 전자상거래 발전 등 효과적인 결합으로 낙후된 지역의 소비능력을 점진적으로 상승시켰다고 전했다. 덧붙여 이와 같은 방법은 많은 개발도상국이 배울 점이 있다고 밝혔다.

 

지난 세계은행(WB) 통계에 따르면 전세계의 극빈자 100명 가운데 70여명이 중국인인 것으로 전해졌다.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중 드라마 막장형 늘어나며 사회 속에 여성혐오 싹 키워
동영상 홍수의 시대다. 현실을 보다 극적인 현실로 묘사하는 과거와 달리 최근 드라마는 극적인 비현실이 특징이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비현실을 통해 현실의 불만을 대리 만족시켜주는 것이다. 마약이 주는 환상과 다를 게 없다. 아쉽게도 이 쾌감은 역시 극적이어서, 쉽게 중독되고 만다. 더욱 문제는 이 비현실을 현실로 착각하는 착란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중국에서는 이 같은 드라마의 ‘비현실’성이 논란이 되고 있다. 비현실적 여성 캐릭터들에 대한 묘사는 현실 중국사회에 여성 혐오증을 양산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미니 드라마를 본 후, 우리 엄마는 주변에 악독한 며느리가 있다고 확신했다.” 최근 한 중국 매체는 이 같은 문장으로 시작하는 비현실 드라마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했다. 보도에 따르면, 허난성 난양시에 사는 리 씨는 어머니가 **《○○ 시어머니, 모두를 놀라게 하다》**라는 미니 드라마를 보고 나서 태도가 변했다고 밝혔다. 해당 드라마는 강인한 시어머니가 악독한 며느리와 맞서 싸우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며, 이를 본 후 어머니는 “그동안 며느리가 보였던 정상적인 태도는 다 연기였고, 악독한 며느리 주변에는 반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