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삼성그룹의 시작 - 호암 이병철(27)

‘돈병철’(錢鬼), 고 이병철 삼성명예회장에게 붙었던 별명이다. 한국에서 돈을 가장 많다는 의미이기도 했지만, 돈만 안다는 폄하의 뜻도 있다.

 

 

돈이 많다? 사실이었다. 제일제당과 제일모직의 성공으로 이병철은 스스로 고백했듯 한국에서 젖먹이 어린이만 빼고 모두가 다 아는 이름이 됐다. 당시 한국 세금의 4%를 이병철과 그의 회사가 냈다. 당시 한국이 아무리 못살아도 한 나라의 경제 세수의 4%를 한 사람과 한 기업이 책임진다는 게 결코 적은 일이 아니었다.

 

 

그런데 이뿐이 아니었다. 돈 병철이란 별명을 또 다른 계기가 있었다. 이병철은 한국 모든 시중은행의 대주주였던 적이 있었다. 은행이란 곳이 어떤 곳인가? 돈을 맡기고 관리하는 기구다. 이런 기구의 전부가 삼성 이병철 회장의 소유였던 적이 있다니? 무슨 사연일까?

 

 

1956년 직후의 일이다. 당시 한국전쟁도 마무리돼 한국 경제가 안정을 찾기 시작할 때였다. 앞에서도 여러차례 설명했지만, 일본이 패망을 해 한국이 독립한 뒤 이어 한국전쟁까지 한국 경제는 혼란 그 자체였다. 인플레이션이 극심해 하루에 자고나면 물건 값이 배로 뛸 정도였다. 전쟁으로 물자가 귀해지면서 인플레이션은 더욱 심했다.

 

 

그런 현상이 조금씩 안정을 찾기 시작한 게 1956년 들어서다. 1953년 휴전으로 나라가 안정을 찾으면서 경제도 조금씩 안정을 찾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그래도 당시 금리는 20%를 웃돌 정도였다.

 

 

당시 한국에는 현재 신한금융지주에 합병된 조흥은행 등 주요 시중은행이 4곳이 있었다. 일본이 한국을 식민경영할 때 만들어진 은행들이다. 일본 대주주들이 있었는데, 한국이 독립하면서 자연스럽게 모두 정부 소유가 됐다. 1956년 한국 정부는 이들 은행을 민영화해서 한국 금융시장의 안정을 보다 빠르게 찾기를 원했다.

 

 

수차례에 걸쳐 이병철의 삼성물산도 참여를 했고, 이들 시중은행 4곳의 50%이상 경영권을 확보하는 지분을 갖게 된 것이다. 이병철은 본래 입찰만 했을 뿐인데, 정부가 이병철이 입찰한 가격보다 더 높은 가격으로 지분을 사길 원했다. 결국 그렇게 정부의 뜻에 따라 이병철은 대한민국 모든 은행의 경영권을 갖게 된다.

 

 

 

오늘날 한국 정부가 금융회사를 산업자본이 소유하지 못하도록 하는금산분리’ 원칙을 세계 어느 나라 보다 철저히 지키고 있다는 것을 볼 때 참 격세지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일이다.

 

 

이병철은 이렇게 썼다. “이미 산업계에서 차지하는 삼성의 비중이 큰 터에, 금융기관까지 장악했으니, 삼성의 우위는 절대적이었다. 그러나 이 입장을 이용하여 임의로 금융기관을 운영하고자 했던 것을 결코 아니다. 시중은행주르 f 매수한 것은 이 나라 금융의 근대화를 기필코 실현하자는 일념에서였다.

 

 


사회

더보기
소비자 거부에도 광고 문자 보낸 공연장 법적 재제 받아
중국에서 소비자가 분명히 거부의사를 밝혔음에도 1년이상 지속적으로 광고 문자를 보낸 문화단체가 법적 제재를 받게 됐다. 최근 중국 펑파이신문에 따르면 조웨(가명)은 자신이 산시대극장에서 공연을 관람한 이후 1년 넘게 다양한 가상의 전화번호로부터 공연 홍보 문자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아와 이를 신고하고 민사소송도 제기했다고 밝혔다. 현재 1심 법원은 공식 사과하라 판결한 상태다. 지난 1년간 조웨는 수신 거부 의사를 밝히고 관련 번호를 차단했음에도 불구하고, 스팸 메시지는 계속 이어졌다고 주장했다. 조웨는 자신이 산시대극장에 정보 수신을 위임하거나 구독한 적이 없다고 강조하며, 극장의 행위는 시민의 개인정보 및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2315 소비자신고센터에 신고하고 경찰에 보호 요청을 했으나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자, 조웨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 2025년 5월 26일, 허베이성 스자좡시 차오시구 인민법원은 본 사건에 대해 1심 판결을 내렸다. 판결에 따라 산시폴리대극장관리유한회사(이하 ‘산시폴리대극장’) 및 마케팅 문자를 발송한 3개 기업은 조웨에게 홍보 문자를 발송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서면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명령받았다. 202

문화

더보기
중국 '가오카오 소비'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오카오 소비'를 잡아라!" 중국판 대입고사인 '가오카오'가 중국 유통업계의 새로운 소비 트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규모가 커지면서 중국 전체 소비액에 영향을 미칠 정도가 돼고 있다. 시험이 끝나고 백만이 넘는 수험생들이 시험을 준비하며 억눌린 감정을 소비로 해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부모 입장에서 고생한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소비를 지원하고 나서면서 중국에서는 '가오카오 소비'라는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중국 상인이나 유통회사들은 물론, 당국도 이를 지목하고 더 많은 다양한 소비를 만들어 내려 노력하고 있다. 다양한 소비 촉진 이벤트를 만들어 가오카오 소비가 더욱 건전한 방향으로 국가 경제에 이득이 되도록 만들고 있는 것이다. CMG 등 중국 매체들에 따르면 올 2025년 중국 대학 입학시험이 막을 내리면서, 수험생들을 중심으로 한 ‘청춘 소비’ 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 졸업 여행부터 전자기기 구매, 자격증 취득과 자기 관리까지, 대학입시 이후의 ‘보상 소비’와 ‘계획 소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소비형태는 여행부터 전자제품, 자기 계발까지 다양하다. 말 그대로 수험생들이 "이제는 나만을 위한 시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