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과연 뱅크시가 했는가?, 그럼 과연 뱅크시는 누구인가? 경매에서 15억 원에 달하는 가격에 낙찰된 그림이 곧바로 액자 안에 설치된 분쇄기로 잘려나간 희대의 '사건'이 벌어져 세계인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작품 파쇄는 그동안 얼굴없는 작가로 알려진 '뱅크시' 스스로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뱅크시라 주장한 이는 해당 사건이 벌어지는 동영상을 공개하며 "파괴의 욕구는 창조의 욕구이기도 하다.-피카소"는 문구를 이유로 밝혔다.
지난 5일 저녁(현지시간) 영국 런던 소더비 경매의 현대미술 판매전에는 뱅크시의 회화 작품 '풍선과 소녀'(Girl With Balloon)가 출품됐다. 이 그림의 가격은 당초 20만∼30만 파운드(2억7000만∼4억4000만 원)로 추산됐다. 작품은 수수료를 포함해 104만2000 파운드(15억4000만 원)에 낙찰됐다.
그러나 진행자가 낙찰을 알리는 의미의 봉을 몇 차례 내리치고 나서 얼마 되지 않아 갑자기 경고음 비슷한 게 울리더니 뱅크시의 그림이 액자 밑을 통과하면서 가늘고 긴 조각들로 찢어졌다.
참석자들은 믿기지 않는 광경에 재빨리 사진을 찍기 시작했고, 경매사 직원들은 반쯤 분쇄된 뱅크시의 작품을 벽에서 떼어내 어디론가 가져가 버렸다. 가방에서 리모컨을 꺼낸 한 남자가 곧바로 경비원들에 의해 끌려나갔다는 증언도 나왔지만, 이 남자의 신원 등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지지 않았다.
소더비의 수석 디렉터 앨릭스 브란크칙은 사건 직후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뱅크시' 당했다(We've been Banksy-ed). 솔직히 말해 이런 일은 처음 있는 일"이라며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 뱅크시는 사건 하루 뒤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액자에 분쇄기를 설치하는 모습과 낙찰 직후 그림이 잘려나가는 영상을 올려 사건이 본인의 소행임을 인정했다.
그는 영상 아래에 "파괴의 욕구는 창조의 욕구이기도 하다.-피카소"라고 적었다. 영상은 15시간 만에 조회 수가 500만 회 가까이 나왔다. 이번 사건은 뱅크시의 전력과 인스타그램에 직접 올린 글에 비춰 현대미술 시장의 거래 관행을 조롱하고, 예술의 파괴와 자율의 속성을 보여주려는 치밀한 기획으로 보인다.
영국 출신으로 알려진 뱅크시는 전 세계 도시의 거리와 벽 등에 그라피티(낙서처럼 그리는 거리예술)를 남기는가 하면, 유명 미술관에 자신의 작품을 몰래 걸어두는 등의 파격적인 행보로 유명하다. 특히 난민과 사회적 약자, 예술과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정치세력과 자본가 계급을 향한 날카로운 사회비판의 메시지, 그리고 이를 예술로 구현하는 기습적인 작품 활동이 그의 트레이드 마크다.
지난 6월에는 1968년 학생운동(68혁명) 50년을 기념해 프랑스 파리 시내의 건물 담벼락에 그라피티 작품 다수를 남기고 홀연히 사라지기도 했다. 이번 사건으로 뱅크시가 누구인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뱅크시가 워낙 철저하게 정체를 감추기 때문이다. 뱅크시의 홍보대행사 JBPR 측은 신원은 물론, 뱅크시 본인이 이번 경매에서 직접 분쇄기를 원격작동했는지 등 언론의 질의에 답변을 모두 거부했다.
지난 2008년 영국의 일간 메일은 브리스톨 출신의 거리예술가 로빈 거닝엄이 뱅크시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뱅크시 본인과 거닝엄의 가족들은 이런 추측을 부인했다. 최근에는 브리스톨을 주 무대로 활동하는 일렉트로닉밴드 '매시브 어택'의 멤버 로버트 델 나자가 뱅크시라는 얘기가 많이 나오지만, 이 역시 확인하기 어렵다. 뱅크시가 사실은 여러 명의 그라피티 예술가들이 모인 하나의 집단이라는 추정도 있다.
또한, 이번 사건이 소더비 경매 측의 협조 없이 뱅크시가 혼자 벌이기는 어려웠을 것이라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소더비처럼 권위적인 미술 경매사는 보통 출품작을 전문가들이 사전에 철저히 조사하는 데, 그림 규격에 비해 지나치게 큰 액자에 대해 주관사가 별다른 의심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있다.
소더비 측은 또 경매에 나온 제품을 일반적으로 하는 것처럼 진행자의 연단 쪽에 두지 않고 이례적으로 벽에 걸어두었는데, 이는 분쇄기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사전에 계획한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경매 낙찰 직후 잘려나간 이 작품의 운명은 어떻게 될까. 작품에 손상이 가해진 만큼 낙찰자는 구매 의사를 철회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비교적 깨끗하게 파쇄된 작품을 전문가들이 어렵지 않게 원상태에 가깝게 복원할 수 있다는 점, 현대미술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큰 뱅크시의 작품이라는 점, 사상 초유의 예술사적 이벤트에 쓰였다는 점 등으로 인해 작품가치는 천정부지로 뛰어오를 수도 있다. 소더비 측은 "낙찰자와 논의 중이며 낙찰자 역시 매우 놀랐다고 한다. 다음 조치를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필자 김연교